IEEE스타일(IEEE style)은 전자, 통신, 컴퓨터, 정보기술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숫자 인용 기반양식이다.
본문에서 대괄호에 인용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며, 논문 말미에 해당 번호 순으로 참고문헌 목록을 정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 규칙
- IEEE 스타일은 대괄호, 숫자 형태”[1]”로 인용하며, 인용된 순서대로 번호가 증가
- 인용되는 순서대로 [1], [2], [3] 과 같이 작성
- 여러 개 동시인용시 [1], [3]-[5] 같이 작성
- 참고문헌 작성시 기본 형식: [Num] 저자명. 책 제목, x판. 출판지(도시), (주), 국가: 출판사; 출판년도, pp. start–end.
본문에서 작성 예시
- ~안영진 외 [1]가 제시한 방법
- ~ 앞서 언급한 연구[2], [5]-[7]에 따르면
- … as shown in [4], [5].
- as mentioned earlier [2], [4]–[7], [9].
참고문헌에서 작성 예시
- [1] L. Stein. Random Patterns, 2nd ed. New York, NY, USA: Wiley; 1994, pp.55–70.
- [4] 박영진. 딸기농법 연구, 2판. 서울, 한국: 농업출판사; 2018, pp.33–50.
단행본
IEEE에서 단행본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단행본은 책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며 참고문헌에서 작성 순서는 “[번호] 저자명. 책 제목, x판.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페이지.” 순으로 작성한다
단행본의 일부(챕터 등)
- 만약 책에서 특정 저자의 글만 인용한다면 “[번호] 저자명, “챕터 제목,” in 책 제목, 편집자명, Ed. 출판지: 출판사, 연도, 페이지.” 형태로 쓸 수 있음.
- 책의 부분/챕터 제목은 큰따옴표(“ ”)로 표기
- “Cat the Royalty,” “시무룩 고양이” 등
연속간행물(저널, 학술대회논문집 등)
- 학술지, 저널 등 연속간행물에 등재된 논문의 표기 방법으로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논문 제목,”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연도, doi.
학위논문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논문 제목,” 학위유형, 학과명, 대학명, 소재지,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 논문의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 학위유형을 먼저 작성, 그 후 학과, 대학명 순으로 작성한다.
보고서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보고서 제목, 기관명, 보고서 번호, 발행연도. 표기한다
-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생성형AI, ChatGPT
IEEE는 아직 ChatGPT 등 생성형 AI 인용 형식을 확립하지 않았으며 기관, 교수별 가이드를 우선 적용하며 사용해야 한다.
- 기본 형식은 온라인 웹사이트 자료 양식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임의로 작성되었다.
- [번호] 개발기관명, “AI 모델명(버전명),” 날짜(년 월 일). [Online]. Available: URL
- 기관명에는 ChatGPT의 경우 OpenAI라고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