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Style 작성법

[참고문헌 작성 #4]

IEEE스타일(IEEE style)은 전자, 통신, 컴퓨터, 정보기술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숫자 인용 기반양식이다.
본문에서 대괄호인용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며, 논문 말미에 해당 번호 순으로 참고문헌 목록을 정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IEEE 스타일 공식 사이트

기본 규칙

  • IEEE 스타일은 대괄호, 숫자 형태”[1]”로 인용하며, 인용된 순서대로 번호가 증가
  • 인용되는 순서대로 [1], [2], [3] 과 같이 작성
  • 여러 개 동시인용시 [1], [3]-[5] 같이 작성
  • 참고문헌 작성시 기본 형식: [Num] 저자명. 책 제목, x판. 출판지(도시), (주), 국가: 출판사; 출판년도, pp. start–end.
본문에서 작성 예시
  • ~안영진 외 [1]가 제시한 방법
  • ~ 앞서 언급한 연구[2], [5]-[7]에 따르면
  • … as shown in [4], [5].
  • as mentioned earlier [2], [4]–[7], [9].
참고문헌에서 작성 예시
  • [1] L. Stein. Random Patterns, 2nd ed. New York, NY, USA: Wiley; 1994, pp.55–70.
  • [4] 박영진. 딸기농법 연구, 2판. 서울, 한국: 농업출판사; 2018, pp.33–50.

단행본

IEEE에서 단행본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단행본은 책 제목을 이탤릭체로 작성하며 참고문헌에서 작성 순서는 “[번호] 저자명. 책 제목, x판.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페이지.” 순으로 작성한다

본문(내주)에서 예시

  • 영어: As has been suggested in recent studies [4].
  • 한국어: 최근 연구에서 제안된 바 있다[1].

참고문헌에서 예시

  • 영어 저자 2명: [4] B. Klaus and P. Horn, Robot Vision. Cambridge, MA, USA: MIT Press, 1986, pp. 50–60.
  • 영어 저자 3명 이상: [4] S. Russell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3rd ed. NJ, USA: Pearson, 2009, pp. 10–30.
  • 한국어 저자 1명: [1] 김상욱, 떨림과 울림. 서울: 동아시아, 2018, pp. 100–105.
  • 한국어 저자 3명 이상: [3] 이준호 외, 인공지능 개론. 서울: 한빛아카데미, 2020, pp. 15–35.
단행본의 일부(챕터 등)
  • 만약 책에서 특정 저자의 글만 인용한다면 “[번호] 저자명, “챕터 제목,” in 책 제목, 편집자명, Ed. 출판지: 출판사, 연도, 페이지.” 형태로 쓸 수 있음.
  • 책의 부분/챕터 제목은 큰따옴표(“ ”)로 표기
  • “Cat the Royalty,” “시무룩 고양이” 등

본문(내주)에서 예시

  • 영어: As has been suggested in recent studies [4].
  • 한국어: 최근 연구에서 제안된 바 있다[1].

참고문헌에서 예시

  • 영어 저자 1명: [4] J. Brown, “Cybersecurity threats,” in Advances in Network Security, T. Harris, Ed. Boston, MA, USA: Elsevier, 2019, pp. 50–75.
  • 한국어 저자 1명: [3] 이혜리, “기후변화와 국제협력,” in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 박상준 편. 서울: 녹색출판사, 2021, pp. 77–90.

연속간행물(저널, 학술대회논문집 등)

  • 학술지, 저널 등 연속간행물에 등재된 논문의 표기 방법으로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작성한다.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논문 제목,”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연도, doi.

본문(내주) 예시

  • 영어: Experimental results support this [5].
  • 한국어: 실험 결과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5].

참고문헌 예시

  • 영어 저자 2명: [8] M. Chiampi and L. Zilberti, “Induction of electric field in human bodies near MRI,” IEEE Trans. Biomed. Eng., vol. 58, no. 10, pp. 2787–2793, Oct. 2011, doi: 10.1109/TBME.2011.2158315.
  • 한국어 단독저자: [7] 박지성,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황과 전망,”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 25, no. 3, pp. 120–130, 2021, doi: 10.7467/KSAE.2021.25.3.120.

학위논문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논문 제목,” 학위유형, 학과명, 대학명, 소재지,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 논문의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 학위유형을 먼저 작성, 그 후 학과, 대학명 순으로 작성한다.

본문(내주) 예시

  • 영어: The effectiveness of this technology has been confirmed in research [7].
  • 한국어: 해당 기술의 효과가 연구에서 확인되었다[7].

참고문헌 예시

  • 영어 단독저자: [8] M. A. Roberts, “Quantum algorithms for data analysis,” Ph.D. dissertation, Dept. Comput. Sci., Stanford Univ., Stanford, CA, USA, 2018.
  • 한국어 단독저자: [7] 조윤아, “드론을 활용한 농업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기계공학과, 서울대학교, 서울, 2020.

보고서

  • 형식은 [번호] 저자명, 보고서 제목, 기관명, 보고서 번호, 발행연도. 표기한다
  • 표제는 이텔릭체로 표기한다.

본문(내주) 예시

  • 영어: A government report covers this in detail [9].
  • 한국어: 정부 보고서는 이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9].

참고문헌 예시

  • 영어 저자 3명 이상: [12] E. Reber et al., Oxygen Absorption in the Earth’s Atmosphere, Aerospace Corp., Tech. Rep. TR-0200 (4230-46)-3, Nov. 1988.
  • 한국어 단독저자: [11] 한국정보화진흥원, 2023년 인공지능 산업 현황 보고서, NIA 리포트 2023-05, 2023.

생성형AI, ChatGPT

IEEE는 아직 ChatGPT 등 생성형 AI 인용 형식을 확립하지 않았으며 기관, 교수별 가이드를 우선 적용하며 사용해야 한다.

  • 기본 형식은 온라인 웹사이트 자료 양식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임의로 작성되었다.
  • [번호] 개발기관명, “AI 모델명(버전명),” 날짜(년 월 일). [Online]. Available: URL
  • 기관명에는 ChatGPT의 경우 OpenAI라고 작성한다.

본문(내주) 예시

  • 영어: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this technology [2].
  • 한국어: 최근 연구는 이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1].

참고문헌 예시

  • 영어: [2] OpenAI, “ChatGPT (GPT-4),” May 30, 2024. [Online]. Available: https://chat.openai.com (accessed June 15, 2024).
  • 한국어: [1] OpenAI, “ChatGPT (GPT-4),” 2024년 5월 30일. [Online]. Available: https://chat.openai.com (accessed 2024년 6월 15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