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마와 동래별장

한일관계의 역사와 문화

1876년 개항과 함께 기회의 땅 부산으로 건너온 일본인에게 부산은 대박과 쪽박이 교차하는 곳이었다. 큰 돈을 벌어 부산의 지배자로 성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망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사람도 많았다. 일본인들은 주로 무역이나 상업에서 돈을 벌었다. 그렇게 번 돈으로 일본인 거류지 주변이나 초량, 영도 등 돈이 될만한 곳에 땅투기를 하였다. 그 바람에 조선인들의 부동산은 일본인에게 넘어갔다.

개항 후 일본인들은 온천개발에 관심을 가졌다. 부산의 일본인 자치기구는 1883년 동래부사로부터 목욕탕 일부를 빌려 관리하다가, 1898년 일본 영사관이 한국정부와 협상하면서 일본인들이 온천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부산에 와서 돈을 번 일본인들은 이곳에 투자하였다. 오이케(大池忠助), 하자마(迫間房太郞), 토요다(豊田福太郞), 타카세(高瀨政太郞) 등이 대표적 인물이었다.

오늘날 허심청 자리에 있던 봉래관(蓬萊館)은 연못을 만들어 배를 띄우고, 자기들 상표의 과자를 만들어 팔기도 하고, 전차표와 목욕비를 묶어서 파는 오늘날 말로 하면 패키지 상품도 판매하였다. 유명 부자들의 별장도 여기저기 들어섰다. 최근 사라졌지만 금강원을 만들었던 히가시 바라(東源嘉次郞)의 별장을 비롯해 하자마가 만든 동래별장까지 온천장은 그야말로 돈많은 일본인들의 휴양지였다.

일본인들은 온천장 개발을 위해 부산과 교통편을 연결하였다. 주로 개인 인력거에 의존했던 일본인들은 1909년 부산-동래간에 경편철도를 운행하였다. 1915년에는 전차를 개통하여 부산과 온천장을 약 30, 40분 거리로 단축시켰다. 온천은 일본인만의 문화가 아니었다. 조선인들도 대중 목욕탕에서 발가벗고 목욕을 즐겼다. 온천장으로 향하는 전차는 늘 만원이었다. <출처: 국제신문-이야기공작소>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한일관계의 역사와 문화’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현재까지 일방적인 한국문화의 우위성을 강조하는 풍조를 지양하고 균등한 시각에서 한일관계를 조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한일관계사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의 역사를 함께 살펴보면서 우리 지역의 정체성을 우리 대학의 학생들에게 고양시키고자 한다.

수강자의 TIP

학술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2 [분반:001]

수업 방식은 플라토에 교수님이 올려주시는 강의 PPT자료와 한글 파일 강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강의가 주를 이룬다. 때로는 내용과 관련된 역사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고, 내용을 요약하여 제출하는 수업도 진행되었다.

수업 중 발표를 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발표 수업도 진행되며, 발표를 하게 되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2022-2 [분반:001]

강의 주제는 한국사를 중심으로 주변 국가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사시대부터 일제강점기 이후까지 우리나라는 일본과 어떤 무역을 했는가, 어떤 전쟁사가 있었는가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 역사 왜곡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 역사학자의 입장, 일본 또는 중국 역사학자의 입장을 공부하며, 중립적인 시각에서 역사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2022-2 [분반:001]

<과제정보>

중간고사 대체 리포트로 진행되며, 주제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이나 참고 영상에서 본 내용 중 관심이 있는 주제를 골라 4페이지 분량으로 작성하면 된다. 리포트는 기말고사 날짜에 직접 제출한다.

리포트의 내용은 단순히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생각까지 포함시켜야 한며,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2022-2 [분반:001]

<시험정보>

시험이 출제되는 주제를 시험 전 수업시간에 알려준다.

  • 임나일본부
  • 삼국시대 도래인의 양상
  • 고려시대의 교역과 왜구 문제
  • 부산 왜관
  • 개항이후부터 임진왜란 까지의 일본과의 관계

*문제는 다양하게 출제된다. 괄호안에 단어를 넣는 문제를 비롯, 객관식, 주관식, 약술형, 서술형이 출제된다.

추천 저널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鄭孝雲; 정효운; Jung, Hyo Oon
동북아 문화연구, 10/30/2007, Vol. 13, p. 481-508
저자 이수열 (Lee, Soo-Yeol)
한일관계사연구. 2021-02 71:215-248
저자 김동철 (Kim, Dong-Chul)
한일관계사연구. 2010-12 37:3-36
저자 김성진
한국문학논총 22. (1998): 49-69.
저자 Kim Mun Ja(金文子)
일본역사연구 18. (2003): 5-32.
저자 김성진
한국문학논총 22. (1998): 49-69.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사상과 역사(1영역)에 개설된 한일관계의 역사와 문화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