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푸른시원) 작가 플라톤 출판 레드애플 님의 별점
    5
    보고 싶어요
    (0명)
    보고 있어요
    (0명)
    다 봤어요
    (0명)
    소크라테스는 꼭 피할 수 있었던 죽음을 자청할 필요가 있었을까? 소크라테스가 생각했던 자신이 죽어야할 이유는 재판의 내용처럼 젊은이들을 파멸로 이끌어서가 아니었다. 자신은 아테네에서 태어났고 길러졌으며 교육 받았고 가정을 꾸렸다. 그리고 아테네를 무척이나 사랑했다. 이것은 아테네와 아테네의 법률에 대한 지지와 용인을 보여주는 것이다. 조국의 제도와 법률이 싫다면 굳이 거기서 살 필요 없이 다른 곳에서 살 수 있는 기회는 언제든지 주어졌기 때문이다. 아테네의 법률을 인정한 그가 자신에게 행해진 재판에 대해 불복한다면 그것은 정당치 못한 행동이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사형의 집행을 받아들였다. 소크라테스의 독주 이야기에 항상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이다. 하지만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과 크리톤에서 볼 수 있는 소크라테스의 입장은 분명히 다르다. 소크라테스도 법을 준수하지 않고 개인의 임의로 어기게 되면 국가가 파멸할 위기가 생길 수 있다고 하였지만 그전에 앞서 소크라테스는 국가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따른 법률도 선택할 수 있었다. 그가 현재의 법률에 만족 하는가, 불만족 하는가에 따라 다른 국가로 가서 살 수 있었고, 그 국가 또한 자기가 원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는 국가로 고를 수 있었다. 결국 그는 사회 안정을 위해 악법을 지키려 죽은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택의 책임을 지기 위해 죽었던 것이다. 그런데 법은 신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만들어 진다. 그래서 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얼마든지 실수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법은 상황에 따라 어떤 법이 정의롭게 활용될 수도, 반대의 경우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막상 그런 일에 닥쳐 보지 않는 이상, 어떤 법이 어느 범위까지 적용되어야 하고 어디서부터 예외적인 법을 적용해야 하는 지 알 수 없다. 그래서 법은 시대에 따라 거기에 맞게 변화하고 발전한다. 소크라테스가 사람들의 모함에 의해 죽었지만 결국 법(아고라 광장의 민회를 통해 사형이 집행되는 것)의 집행 과정에는 아무 잘못이 없었으므로 법이 잘못되어 죽은 것으로 봐야 한다. 법은 완벽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이 있을 때 끊임없이 바꿔주어야 한다고 생각했을 때 소크라테스는 법의 심판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 법의 부당함을 역설하였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는다면 탈옥을 하고 나서 그 법을 수정하기위해 노력을 하는 것이 더욱 옳은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
    크리톤을 통해 소크라테스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자신의 죽음을 냉정히 판단했는지 알 수 있었고, 그가 생각했던 정의와 옳게 사는 삶이 무엇인지도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무심코 지나쳤던 민주주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소득은 소크라테스와 비교했을 때 나는 나의 신념을 위해 내가 믿고 있는 정의에 대해 어떻게 행동해 왔는지를 반성해 보는 시간을 가진 것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