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얼리코디네이터

20세기 모던 주얼리 발명의 결정적 순간

왜 20세기 주얼리는 덜 고귀하고, 덜 정제된 것에서 영감을 받았을까?19세기까지만 해도 주얼리는 신분과 권력의 표상 역할을 했다. 특히 1725년에 브라질에서 다이아몬드가 처음 발견되고 유럽에 대량 유입되면서 다면 커팅을 통해 빛을 최대한 반사하는 기술이 발전했고, 이 반짝이는 돌은 귀족은 물론 신흥 부르주아에게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고귀한 보석으로 만든 초커와 브로치, 시계, 열쇠, 지갑 등 다양한 오너먼트를 달아 화려함을 극대화한 샤틀레느(Chatelaine)도 유행했다. 한편, 이국적 취향을 좇던 유럽 상류층은 명·청 대 귀족 여성들이 착용한 호갑투(甲套), ‘네일 가드’에 매혹됐다. 금과 은, 보석으로 장식한 손톱 커버는 일상생활에 성가실 정도로 길고 화려했지만, 노동자의 짧은 손톱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지위의 상징이 되었다. 여기에서 이야기가 끝났다면 주얼리에 대해 더 언급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주얼리는 20세기를 기점으로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호화로운 보물에 불과했던 주얼리가 개성을 드러내고 흥미진진해지는 시점.그 서막을 연 것은 프랑스의 보석 명가 부쉐론이었다. <출처: VOGUE>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주얼리코디네이터’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패션트랜드에 주얼리가 중요한 요소로 장식된다. 풍부한 주얼리의 상품 지식과 주얼리 산업체에 대한 기초,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2 [분반:101]

본 강의는 모두 대면 수업이며, 전반부는 이론 수업, 후반부는 실기 수업으로 구성된다. 전반부의 이론 수업은 발표과제와함께 매주 그 주의 중심 주제에 대하여 2-3팀이 발표하고, 이후 교수님께서 교과서와 PPT로 강의를 진행하신다. 주얼리코디네이터 3급 자경증 시험 내용이 대부분이며, 중요한 부분과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분을 말씀해주신다. (자격증 응시비용은 50,000원)

강의 평가는 출석(30%), 중간고사(20%), 포트폴리오(30%), 수업태도(20%)이다.

2024-2 [분반:101]

<강의정보>
강의 회차별 주제는 주교재인 주얼리코디네이터 검정 3급의 목차와 같이 진행된다. 첫날 주얼리 개론과 산업론에 대해 교수님께서 강의하고, 그 이후는 발표와 함께 진행되는데, 그게  4가지 주제(소재, 제조, 상품, 판매)로 나뉜다. 소재는 보석의 기초 지식과 함께 주얼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보석광물에 대한 특성과 역사, 손질방법 등을 배운다. 제조는 주얼리 디자인 기초지식과 주얼리 제고 가공 수리에 대해 배우며 상품은 상품의 분류와 주얼리 상품 지식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 판매는 주얼리 판매 시 필요한 소비자 보호법과 같은 기초지식과 주얼리 코디네이션의 방법에 대해 배운다. 중간고사 이후에는 주얼리 제조 실습을 중심으로 토각 기법을 활용한 주얼리 제조 체험이 진행된다.

2024-2 [분반:101]

<과제정보>
첫시간 오리엔테이션 진행 후 매주 2-3팀이 그날 배우는 내용에 대해 주제를 나누어 발표하는 조별 과제가 있다. 1팀 3-4명으로 구성되며 30분 이내로 PPT 발표를 진행한다. 조사할 분량이 많으므로 각 1개의 보석을 맡아 자료조사, PPT, 발표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업 명칭과 정식명칭을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과제 수행 시 정확하게 확인 하는것이 좋다.

2024-2 [분반:101]

<시험정보>
중간고사: 주얼리코디네이터 3급 자격증 시험으로 대체된다. 자격증 시험의 점수가 중간  평가의 점수로 반영된다. 시험문제는 객관식 50문제, 단답형 6분제, 서술형 3문제 출제된다. 서술형은 3문제 중 2문제를 선택해서 풀면 된다. 교수님께서 사전에 약 10회 분량의 기출 문제를 내주시는데, 기출문제에서 재출제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출 문제 위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문제예시)
* 1월~12월 탄생석 순서대로 쓰기
* 고객 응대 시 주의사항 중 5가지 이상 기술
* 주얼리 제작에 사용되는 공구 중 쓰임이 다른 것은(지환봉, 롤러, 치수 링, 버니어 캘리퍼스)
* 투명하고 아름다운 쿤자이트를 가장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커팅 방법
* 가닛 군에 속하지 않는 보석 고르기
* 얼굴이 둥글고 얼굴 길이가 짧은 여성에게 어울리는 디자인의 귀걸이
기말고사: 실기 수업의 포트폴리오로 대체된다. 포트폴리오에는 디자인 도안, 작업 과정, 완성샷, 착용샷, 느낀점이 필수로 들어가야 하며 작업 과정 중 포트폴리오에 들어갈 사진을 찍어두는 것이 좋다. 도안은 꼭 자신이 디자인 할 필요는 없고, 투각 난이도와 정성에 비례해서 점수를 부여하신다.  포트폴리오 제출 기간과 기말고사 기간이 같기 때문에 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야한다.

추천 저널

Gemological Inst of America
0016-626X
Gemmological Association of Great Britain
1355-4565
Springer Nature
undefined
한국의류산업학회
1229-2060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229-3350
한국조형디자인학회(구 한국공예학회)
1229-1412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강혜림 (Hye-Rim Kang)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5-06 25(6):149-157
저자 김보림 (Kim, Bo Rim); 문선영 (Moon, Sun Young)
한국기초조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4-11 2024(11):117-120
저자 임진 (Lin, Zhen); 이형규 (Lee, Hyung K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4-12 30(4):469-480
저자 박여경; 안일훈; Park Yeo-kyeong; Ahn Il-hoon
한국디자인포럼, 08/31/2017, Vol. 56, p. 173-184
저자 장유리; 안일훈; Jang, Yu-ri; Ahn, Il-hoon
한국디자인포럼, 11/25/2014, Vol. 45, p. 203-212
저자 김주애; Kim ju-ae
한국디자인포럼, 11/25/2007, Vol. 17, p. 157-166
저자 진용미 / Yong-mi Jin
미용예술경영연구 /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JBAM). May 31, 2025 19(5):159
저자 유연재 (Yoo, Yeon Jae); 최정화 (Choi, Jung Hwa)
기초조형학연구. 2024-10 25(5):393-407
저자 정자영 (Jeong, Ja); 김승인 (Kim, Seung In)
기초조형학연구. 2024-08 25(4):319-335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문학과 예술(3영역)에 개설된 주얼리코디네이터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