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인가 도핑인가, 나이키 스캔들

현대 사회와 스포츠

다큐멘터리 ‘나이키 스캔들’ <출처: 왓챠>

스포츠는 신체의 기량이나 기술을 겨루는 경기이기 때문에, 장비에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을 도입하면 기술도핑으로 간주한다. 1998년 수영장비업체 스피도가 개발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전신 수영복을 입는 선수들이 증가하면서 세계 기록이 쏟아져 나오자, 국제수영연맹(FINA)은 2010년부터 전신 수영복 착용을 금지했다. 그러나 기술도핑을 판단하는 기준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예컨대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은 선수에게 불공평한 이점을 줄 수 있는 기술 및 신발을 금지한다는 경기 규칙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 기술 및 신발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규정하지 않는다.

한편, IAAF가 2017년 3월 나이키의 새 운동화가 기술도핑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되었다. 나이키는 2016년 12월 첨단 기술을 운동화에 접목해 마라톤 풀코스(42.195km) 세계 기록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브레이킹2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나이키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 운동화에는 탄소섬유판이 들어 있어 발을 내딛을 때 힘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소비는 줄여 준다. 실제로 2016 리우올림픽 마라톤에서 1∼3위를 차지한 선수들이 모두 이 나이키 운동화를 착용한 바 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현대 사회와 스포츠’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가 미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도출해본다.

추천 저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한국스포츠법학회)
1598-527X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1229-8514

수강자의 꿀팁

학술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1 [분반:002]

모든 수업은 학생들이 스스로 정한 주제에 대한 발표로 진행된다. 스포츠 이슈에 대한 쟁점을 조사한 후 자신의 입장을 정해 발표를 하고 질의응답이 이루어진다. 질의응답은 한 학생의 발표당 5명이 할 수 있는데, 교수님께서 질문의 맥락을 보시고 4명을 고르고 발표자가 한 명을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하루에 발표하는 사람은 5명인데 한 번이라도 질문하지 못한 학생은 그날의 질문점수를 받지 못한다. 질의응답이 끝나면 교수님께서 해당 주제에 대해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 주시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신다.

2022-1 [분반:002]

미리 나누어주신 파일에 모든 학생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고 질문 또한 적게 하신다. 한 번 질문을 했더라도 개인 질문을 만들기 위해 강의를 열심히 들었다. 스포츠 이슈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기에 다양한 이슈들이 나왔다. e스포츠, 올림픽, 축구, 야구 등 모든 분야에서 주제가 나왔고 베이징 올림픽 편파 판정, 병역 혜택의 기준, 기후변화에 따른 동계올림픽 개최지 감소, 사직구장 리모델링, 선수들의 사생활 보호 기준, AI 심판 도입 등의 주제가 있었다.

2022-1 [분반:002]

중간고사의 경우 그전까지의 강의에 대한 피드백, 제일 인상 깊게 들었던 주제와 그에 대한 자신의 질문 및 의견을 물어보는 과제가 있다. 그리고 10분가량의 동영상 3개를 보여주시고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적는 과제를 내주셨다. 동영상은 재능과 노력, 그리고 유전자에 관한 내용이었다. 기말고사의 경우 모든 발표에 대한 정리 및 자신의 질문을 정리한 파일을 제출하였다. 모든 과제가 개인의 생각을 요구하거나 정리 및 고민을 해보게 하는 것이었다. 그렇기에 정해주신 규격과 분량을 지킨다면 점수를 다 주신다.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건강과 레포츠(5영역)에 개설된 현대 사회와 스포츠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1

익명1
2023년 05월 16일 11:02 오전

평소에 스포츠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 강의였다. 스포츠 그 자체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조금 더 일상생활과 관련된 스포츠를 다루다보니 흥미롭게 들을 수 있는 강의였다. 직접 프로 스포츠를 보고 오는 과제도 있었는데, 평소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던 테니스의 경기를 보며, 테니스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