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인 맹자를 펼치면 ‘利(이)’에 대한 내용이 가장 먼저 나온다. 혜왕이 맹자에게 “어찌하면 나라를 이롭게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왜 꼭 이익만을 말씀하십니까?”라고 되묻는다. 한 나라의 왕이 나라를 이롭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물었는데, 왜 맹자는 그렇게 되물었을까? 맹자는 사회집단과 개인 등이 각자의 이익을 우선해 추구할 경우 국가와 사회는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즉 모두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이익과 충돌해 결국 갈등이 생겨 사회는 혼란스러워 질 수밖에 없다고 봤다. 인간의 본성인 탐욕이 어떻게 사회 갈등을 유발하는 지를 꿰뚫어 본 것이다. <출처: 뉴스핌>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2 [분반:001]
본 강의는 거점국립대학교 학점교류시스템인 knu10 사이트에서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강의이다. 매 주차시마다 전북대학교 황갑연 교수님께서 중국고대철학에 대해 설명해주신다. 대략 100분 정도의 강의가 올라오고 수강 출석 인정 기간 동안 학습완료하면 된다. 수업은 중국 상고시대부터 춘추전국말기까지의 제자백가사상을 범위로 한다. 주요 내용은 동아시아 철학의 원류인 제자백가사상의 탄생 배경과 내용 그리고 차이와 특성이다. 제자백가 사상을 유기적 관계로 구성하여 각 사상의 연계성과 특성을 소개하시기 때문에 각 주차별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2024-2 [분반:001]
<강의정보>
1주차: 오리엔테이션
2주차: 제자백가의 발생 배경
3주차: 제자학파의 기원과 유래
4주차: 유가철학1 공자의 철학사상
5주차: 유가철학2 맹자의 철학사상
6주차: 묵자의 철학사상
7주차: 도가철학사상1 양주와 노자
8주차: 중간고사
9주차: 장자철학
10주차: 순자철학
11주차: 한비자철학
12주차: 명가철학
13주차: 후기묵가철학 – 묵변철학
14주차: 음양가철학
15주차: 제자백가사상에 대한 종합적 해설
16주차: 기말고사
2024-2 [분반:001]
<과제정보>
과제없음
<시험정보>
시험은 토요일 오전 12시 정각 knu10사이트에서 공지사항으로 발표되며, 당일 자정까지 제출해야한다. 중간고사는 2문제, 기말고사는 3문제 출제되었고 분량은 A4용지 기준 2-3매이다. 제출 시 표절율 검사를 반드시 진행 후 제출해야한다. 표정율 10%이상인 경우부터 비율대로 감점처리된다. 제출 후 10여분이 지나면 knu10사이트에서 검사기준으로 표절율이 뜬다. 표절율은 중간고사에는 제공되었으나, 기말고사에는 제공되지 않아서 따로 카피킬러에 표절검사를 진행 한 뒤 제출하였다. 중간/기말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시험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는 객관적 사실을 나열이나, 단순 교재의 서술보다 자신의 생각을 많이 표현할 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중간고사문제예시
– 공자철학에서 인과 충서의 관계를 해설하고 서와 황금율을 본질적 차이 설명하기
– 묵자의 상동 정치론과 공자의 민본 정치론의 차이 해설하기
* 기말고사문제예시
– 인금지변을 근거로 맹자 성선설의 의미, 그리고 증명 방법 해설하기
– 장자의 제물 설명법. 도추와 양행을 근거로 해설하기
– 성, 심, 예 삼자를 근거로 순자 화성기위 해설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