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읽기와 토론

단테의 신곡(神曲)

 

 

 

 

 

 

 

 

 

 

 

《신곡》(神曲, 이탈리아어: La Divina Commedia, The Divine Comedy)은 저승 세계 여행을 주제로 한 13세기 이탈리아의 작가 단테 알리기에리가 1308년 경부터 사망한 해인 1321년까지 집필한 서사시이다.

신곡은 이탈리아 문학의 중심 서사시로 손꼽힌다. 저자와 같은 이름의 여행자 단테는 베르길리우스, 베아트리체, 베르나르두스의 안내를 따라 지옥-연옥-천국으로 여행한다. 단테는 그 곳에서 수백 명의 신화상 혹은 역사상의 인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죄와 벌, 기다림과 구원에 관해 철학적, 윤리적 고찰을 할 뿐만 아니라 중세 시대의 신학과 천문학적 세계관을 광범위하게 전하고 있다.

《신곡》은 중세에 쓰였음에도 이탈리아 문학의 꽃으로 손꼽히며, 사후에 대한 중세적인 세계관을 보여준 최정점에 있다. 이 작품은 특히 권력층 언어인 라틴어가 아닌 토스카나 방언으로 적혀 있어 이탈리아어의 생성과 발전이 있기까지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토스카나 방언으로 집필했다는 것은 누구나가 이해할 수 있고, 누구의 마음 속에나 쉽게 받아들일 수 있고, 게다가 천박함을 저어하는 세심한 배려가 담겨져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지옥에 떨어진다든지 예수 이전에 태어난 사람은 기독교인이 아니므로 훌륭한 사람이더라도(플라톤, 호메로스 등) 천국에 가지 못한다는 등, 그 시대의 가톨릭 신앙에 근거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어 한계를 보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출처: 위키백과(신곡)>

<지옥구조도>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1부인 지옥편에 대한 서술. 단테의 지옥이라고도 불린다. 신곡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부분이자 지옥을 소재로 한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 불교의 지옥도하고도 묘사가 비슷한 편. 사실상 이 작품 이후 지옥, 특히 기독교의 지옥을 다루는 모든 창작물은 크든 작든 이 지옥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무방하다.

지옥에는 단테가 개인적으로 싫어하던 사람이나 그의 정치적 라이벌도 많이 들어있다. 심지어 이 글을 쓸 당시에는 아직 살아 있었는데도 영혼은 이미 지옥에 있다고 묘사하기도 한다. 단테가 지옥의 몇몇 죄인들에게 동정심을 보이는 것도 특징이고 반대로 몇몇 죄인들에겐 꼴 좋다는 식으로 비웃어주기도 한다.

<연옥 구조도>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2부인 연옥편의 내용을 정리한 문서. 여기까지는 베르길리우스가 안내하는데, 베르길리우스는 세례를 받지 않은 고대 로마시대 시인이다보니 천국으로 갈 수 없어서 천국부터는 베아트리체가 안내를 도와준다.

연옥은 남반구 어딘가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베르길리우스와 단테는 대지의 중심에서 빠져나와 다시 햇살을 받으며 연옥(煉獄, Purgatorio)의 불을 저장한 산에 이른다. 연옥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속죄자들은 자신의 죄를 깊이 통찰함으로써 정화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그들의 죄는 용서받을 수 없는 것이 아니며, 이들은 속죄가 끝나게 되면 지상낙원(Paradiso terrestre)에 도달해 천국으로 갈 수 있게 된다.

<천국 구조도>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3부인 천국편에 대한 서술. 단테의 천국이라고도 불린다. 원어로는 Paradiso(파라디소) 이다.

여기서부터는 단테의 평생의 연인 베아트리체가 안내를 도와주며 제 10천인 지고천은 성 베르나르도가 안내를 한다. 작중에서 지난 시간은 지옥과 연옥은 각각 3일이지만 천국만은 1일이다. 천국은 옛 유럽인들의 믿음에 따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겹의 하늘로 이루어진 것으로 묘사되며, 각각의 죄에 따라 벌을 받는 지옥과 연옥처럼 각각의 선에 따라 행복을 누리고 있다. 사실 모든 영혼은 지고천에 살지만, 축복의 여러 계층을 단테에게 알려주고자 특별히 맞춤형 배치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영혼들이 받는 축복은 모두 똑같다.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고전읽기와 토론’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고전 읽기를 통해 다양한 사유의 방법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고급 독해력을 배양하며, 학문간 융합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2 [분반:056]

대면수업이며 수업방식은 다음과 같다.

[주제도서 읽기] -> [자신의 생각이나 궁금한 점 등을 질문지에 적어 제출] -> [교수님과 1:1토론] -> [서평 제출]

교수님과 함께 작가의 삶에 대한 글을 읽기도 하며, 영어로 된 정보들도 함께 읽기도 한다.

교수님과 1:1토론의 경우 의견교환과 피드백 등 가벼운 느낌으로 진행되며 1인당 5~10분정도로 진행된다.

2022-2 [분반:056]

교재로 쓰이는 도서는 총 3권이며 모두 실존주의와 철학 관련 내용을 담고 있어, 실존주의에 대해 생각해보길 원하는 학생들에게 이 강의를 추천한다.

  • 이방인(알베르 카뮈, 새움)
  • 변신(프란츠 카프카, 문학동네)
  • 세일즈맨의 죽음(아서 밀러, 민음사)

시험은 없으며, 대신 한 권의 책을 읽을때마다 질문지나 토론서평 등을 작성·제출해야 한다.

2022-2 [분반:056]

<질문지 작성>

  • 책을 읽으면서 든 의문점, 더 탐구해 보고 싶은 질문을 5개 이상 작성하고, 이러한 발상을 하게 된 이유를 짧게 2~3줄 덧붙인다. 질문지를 작성할때의 가이드라인을 어길 시 감점이 있다.

<서평 작성>

  • 교수님과 1:1토론하며 얻게 된 추가 사실과 다른 생각을 바탕으로 질문지에서 작성했던 질문 중 하나를 선택해 2페이지 분량의 서평을 작성한다.

2022-2 [분반:056]

*서평의 경우 분량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며, 그 다음 주제가 일치하는지가 키포인트이다.

*참고문헌은 아예 쓰지않는것이 가장 좋지만 꼭 사용해야할 경우엔 1~2개만 허용한다.

*질문지와 서평의 피드백은 1:1토론 및 플라토 쪽지로 준다. 이러한 피드백을 다음 과제에 활용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질문지 작성, 토론, 서평 등 모든 활동이 성적으로 평가된다.

2022-2 [분반:018]

한학기동안 고전도서 2권을 읽는다.

전반부(중간고사 전)에는 ”공자의 논어“ 후반부(기말고사 전)에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책의 경우 수업중에 교수님과 함께 읽는 시간을 가지므로 미리 읽어올 필요는 없다. 이후 교수님이 지정해준 부분을 읽어온 후 책 내용과 관련된 시험을 치른다.

2022-2 [분반:018]

쪽지 시험이 끝나면 교수님이 조를 나눠주고 토론 주제를 배정해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주제는 교수님이 정해둔 것 중 선착순으로 자유롭게 정하며, 토론은 칼포퍼 방식, 한조에 5~6명으로 각자 역할(사회자, 시간 재는 사람 등)을 정해 진행되었다.

토론 시작 전 토론 준비 시간으로 토론 개요서와 준비문을 작성하기도 한다.

2022-2 [분반:018]

자신의 조가 토론을 진행하지 않을때는 토론 평가지를 조원들과 함께 작성해 제출하게 된다.

토론이 끝나면 서평을 제출하게 되는데 해당 당일에 서평을 작성하여 이메일로 제출해야 하므로 빠듯하다

<시험정보>

  • 논어쪽지시험과 기말고사(자유론) 모두 객관식 위주(20문제 안팎)로 책을 꼼꼼히 읽으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었다.

2022-2 [분반:018]

*논어의 경우 쪽지 시험을 진행했고 자유론은 쪽지시험 대신 기말고사로 진행되었다.

*조는 한번 정해진 뒤 변경되지 않았다.

*중간고사는 없으면 토론과 서평 작성 이외에 별도 부여되는 과제도 없다.

2023-1 [분반:055]

본 강의는 강의실에서 대면으로 진행되는 수업이다. 100분 분량의 강의이기에 60분 수업 후 10분간의 쉬는시간이 주어진다. 10분간의 쉬는시간 직후에 교수님께서 불러주시는 번호를 플라토 어플에 기입하는 방식의 스마트 출결방식을 활용한다. 조를 사다리타기로 정하여 조별로 팀을 결성하여 토론을 하는 과제가 있다. 수업 첫 째주에 도서 두 권을 정해주는데, 마키아밸리의 군주론과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로 정해졌다.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퀴즈를 치고, 2번에 걸친 네 팀의 첫 번째 도서의 토론, 첫 번째 도서의 서평 제출이 이루어진다. 그 후 동일한 방식으로 두 번째 도서의 교수님 강의를 듣고 퀴즈를 치고, 2번에 걸쳐 토론, 서평 제출로 수업이 이루어져있다. 퀴즈의 경우 모든 학생들이 플라토 게시판에 한 문제씩 정답을 함께 표시하여 제출해야한다. 다른 학생들이 제출한 문제를 다 공부한 후 교수님이 선정하신 5문제를 수업시간에 푸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2023-1 [분반:055]

서평 작성과 토론을 배우는 수업이다.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분반의 경우 군주론과 엔트로피 두 책을 통해 실습한다.

서평과 토론에 대해 간단한 사전수업을 한다. 이후 군주론 책의 줄거리를 3차시에 걸쳐 교수님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준다. 군주론에 관한 서평을 개별적으로 제출하고 군주론에 관련된 두 가지 주제로 토론을 나눈다. 동일하게 엔트로피 책의 줄거리를 3차시에 걸쳐 교수님이 설명해주고 관련된 주제로 두 차례 토론을 나눈다.

군주론의 경우 다양한 인물과 국가 배경이 등장하기에 배경지식이 없이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강독 시간에 책 내용 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 분위기, 관련된 인물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설명해주므로 책을 읽기 더욱 수월하게끔 해준다.

2023-1 [분반:055]

<과제 정보>

군주론, 엔트로피 두 권의 서평을 작성해야 한다. 분량은 상관없으며 수업 시간 중에 작성해야 한다. 나눠주는 A4지에 볼펜으로 작성해야 하며 미리 작성해온 글을 보며 적어도 된다.

군주론 서평 주제는 “내년 총선에 첫 투표를 하는 사람에게 책을 소개하기”, “ 엔트로피의 서평 주제는 “환경에 관심을 가진 중학교 1학년 학생에게 책을 소개하기”였다. 각 해당하는 대상의 성격을 고려하며 글을 써야하기에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끔 어려운 단어를 풀어쓰거나, 해당 책을 읽은 당사자로서 이 책을 추천하는지 안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작성해야 했다.

2023-1 [분반:055]

<시험 정보>

학생들이 모두 쪽지시험 문제를 플라토 자료실에 출제하고 그 중 다섯 개를 랜덤으로 골라서 수업시간에 시험을 응시하는 방식이다. 플라토 자료실에 미리 학생들이 문제를 출제하기에 해당 게시물에 올라온 문제만 공부하면 된다. 문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생물학자들에 의하면 지나친 전문화는 종의 멸종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O/X) 정답: O
∙흐름의 모든 단계에서 에너지는 변환되고, 교환되고, 폐기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항상 더욱 분산된 형태로 변하고,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O/X) 정답: O
∙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오직 한 방향으로만 바뀌며, 질서화한 것에서 무질서화한 것으로 변화한다 (O/X) 정답: O
∙흐름의 모든 단계에서 에너지는 변환되고, 교환되고, 폐기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항상 더욱 분산된 형태로 변하고, 엔트로피는 감소한다. (O/X) 정답: X
∙귀족의 지지를 얻어 군주가 된 자에 비해 국민의 지지에 의해 군주가 된 자가 지위를 유지하기 더 어렵다. (O/X) 정답: X
∙14년에 걸친 재위기간 동안 재판을 거치지 않고 처형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을 정도로 이 황제의 청렴함은 많은 일로 칭송을 받았다. 이 황제의 이름은? 정답: 알렉산더
∙현재 다스리는 군주 가문의 통치에 익숙한 세습 군주국이 새로운 군주국인 신생 군주국보다 다스리기가 훨씬 더 어렵다. (O/X) 정답: X
∙군주는 신하들의 결속과 충성을 위해 잔인하다는 평에 신경써서는 안 된다. (O/X) 정답: O

2024-1 [분반:024]

대면 강의로 진행되고 토론 수업과 쪽지 시험을 빼면 모두 교수님의 강의 중심으로 진행된다. 교수님께서 강독자료를 준비해주고, 매 수업마다 피피티를 이용해 강의해준다. 중간고사 시기에는 “당신들의 천국” 중심으로 쪽지시험, 조별토론, 서평 작성하기를 시행하고, 기말고사 시기에는 “감시와 처벌”을 중심으로 쪽지시험, 조별토론을, 그리고 두 권을 엮어서 서평을 작성합니다.

쪽지시험은 피피티에서 주로 내고 가끔 파란 글씨에서만 쪽지시험이 나온다는 걸 알려주는 등 힌트를 주시도 하니 수월한 시험 준비를 원한다면 수업을 꼼꼼히 듣는 것을 추천한다. 강의에 대한 열정이 넘치시는 분이라 토론에 대한 피드백, 하나도 빠지지 않는 설명 등으로 인해 수업이 일찍 마치는 날이 거의 없고 대부분 10분에서 20분 정도 연장 수업을 하십니다. 또한 학생들이 시험을 치지 못한 것을 굉장히 안타까워하셔서 추가 시험 기회를 끝까지 준다. 추가시험은 온라인이나 대면으로 추가시험 시간에 치루게 되는데 원래 시험 기간에 치뤘던 시험보다는 기준이 더 빡빡하고 어렵게 나온다고 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성적 처리 기간이 길어져 성적이 늦게 나오는 수업으로 유명하다.

2024-1 [분반:024]

강의에서는 그 수업에 메인 고전 소설에 대한 강독 자료, 설명, 토론 수업 진행 방식, 토론 할 때 유의해야하는 점, 서평 쓰는 방법, 고전에 대한 정의, 토론 피드백 등 고전 도서에 관한 설명과 쪽지 시험, 토론 수업 관련된 정보를 강의한다.

반드시 해와야 하는 과제는 토론 수업 준비해오는 것 뿐이고, 강독자료를 읽어오면 수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읽어오길 추천하지만, 반드시 수업 전에 책이나 강독자료를 읽어와야 하는 과제는 없다.

교수님께서 고전 도서를 굳이 읽지 않아도 될만큼 잘 정리된 강독자료를 주고, 인용된 자료도 주석을 달아주기 때문에 강독자료만 잘 읽고,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주석에 달아주는 교수님의 다른 논문을 참고하면 된다.

2024-1 [분반:024]

<과제 정보>

과제 없음

<시험 정보>

시험은 서평 쓰기로 대체된다. 서평은 중간고사 전까지 읽은 고전 도서에 대해 쓰고, 질문은 당일날 시험지에 제시된다. 고전 소설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 혹은 인물을 제시하고, 어째서 가장 인상 깊었는지, 그 장면 혹은 인물을 현대 사회에 적용시켜보면 어떤 것을 얻을 수 있을지, 고전소설을 현대적 시각에서 비판한다면 어떻게 비판할 수 있을지를 순서대로 서술하면 된다. 질문은 고전 소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024-1 [분반:024]

<시험 정보>

토론은 정해진 논제들 중 조별로 찬성과 반대를 나누어 짝이 맞는다면 그 조끼리 토론을 진행한다. 각 조원이 입론, 확인질문(심문), 반론, 최종발언등 각자의 역할을 정해 미리 제출한 입론서를 바탕으로 토론을 진행한다. 피드백도 꼼꼼하게 해주고 준비시간도 여유롭게 주기 때문에 많은 부담이 있지는 않지만, 그 점 때문에 다음 수업으로 토론 차례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기말고사는 당신들의 천국 관련 문제 하나, 감시와 처벌 관련 문제 하나, 두 고전을 엮은 문제 하나로 총 세 문제로 이루어져있다. 대체로 문제들이 그 책의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핵심 내용을 현대 사회나 다른 작품과 엮어서 생각해보거나 자신의 느낀점, 깨달은점 등을 설명하는 등 많은 생각을 해보아야하는 문제들로 이루어져있다. 다만 중간고사와의 차이점으로 중간고사는 스스로의 생각 중심이라 참고한 자료의 인용출처만 정확하면 됐었지만 기말고사는 책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 문제가 많아서 책에서 하고 있는 내용과 빗나가는 내용을 서술하면 안된다는 점이다.

추천 저널

한국카프카학회
1229-618X
동양철학연구회
1229-5965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이서규; Lee, Seu-Kyou
범한철학, 12/31/2014, Vol. 75, p. 369-399
저자 김혜동 / Hae Dong Kim
불어불문학연구 / Etudes de Langue et Litterature Francaises. Jan 01, 1983 18:133
저자 이서규 (Lee, Seu-Kyou)
철학논총. 2014-01 75:211-242
저자 강준수 / Jun Soo Kang
인문학연구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Mar 31, 2016 102:103
저자 원현주 (Hyunju Won)
교육연구. 2017-12 25:100-135
저자 최봉철 (Bong-Chul Choi)
법철학연구. 2019-08 22(2):127-154
저자 이호규 (Lee, Ho Kyu)
사회과학연구. 2021-03 28(1):7-29
저자 김도원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 Yonsei Journal of Public Governance & Law. Aug 31, 2020 11(2):39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교양필수에 개설된 고전읽기와토론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1

익명1
2023년 11월 30일 5:43 오후

가장 교양다운 교양이였다.
책을 단순히 읽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읽어보고 깊게 생각을 해볼 수 있었던 강의였다.
또 토론을 통해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표현역량을 기를 수 있다.
과목 특성상 해야할 과제가 조금 있는데, 소홀히 하지 않고 열심히 참여하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