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로 보는 인간의 감정과 몸

사상의학

체계적인 체질이론은 동서양을 통틀어 동무 이제마의 사상체질이론 하나밖에 없다고 해도 과장된 얘기가 아니다. 사상체질 이론 이전에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체질이란 개념도 모호했고 더욱이 질병의 치료에는 전혀 응용할 만한 것이 못됐다. 이제마는 사람의 체질은 사상체질, 즉 태양, 태음, 소양, 소음으로 구별됨을 밝히고, 체질별로 생리, 병리 및 약리의 특징을 설명함으로써 비로소 체질의학이 성립하게 됐다. 한의학 분야에 새로운 학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을 1893년 7월13일부터 저술하기 시작해 1894년 4월13일 완료하고, 죽기 전까지 계속 보완해나갔다. 옛 사람들이 저술한 저서를 참고해 낮에는 생각하고 밤에는 헤아려 맞춰보고 끊임없이 노력해 소음인과 소양인에 대해서는 자세히, 태음인과 태양인에 대해서는 간략히 작성했다. 결국 1901년 6월 `동의수세보원’이라는 이름으로 율동계에서 최종 출판했다.

그가 사람의 체질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오랜 신병을 앓았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병을 위해 고전에 의거한 여러 가지 약을 써왔으나 도무지 낫지 않으므로 여기서 사람은 각자 체질이 다르고 또 체질에 따른 병과 약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가 체질을 발견하기까지는 전 생애를 바쳐서 연구 노력한 결정이며, 그의 사상의학이 완성될 단계에 와서는 실성한 사람 같아서 사람들의 의심을 받기까지 했다.

어느 때는 약을 실험하기 위해 신흥군, 장진군 같은 깊은 산골에 가서 풀뿌리, 나무뿌리, 열매 등을 채취해 달여서 먹기도 하고, 날로 씹어보기도 하며 앓는 자가 있으면 친히 찾아가서 실험하고 치료해 경험과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사상의학의 체계를 세우게 된 것이다.

사상체질, 즉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감별에는 외모, 심성, 병증 등 세가지가주요한 지표가 된다. 우선 외모는 체형과 용모를 본다. 체질마다 일정한 패턴이 있어서, 이것만으로도 체질이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체격은 후천적으로 변화될 수 있어서 영양상태나 질병 때문에 발육이 좋고 나쁨이 있을 수 있고, 운동이나 직업에 따라서도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체형은 거의 달라지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체형은 일반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고 예외를 인정하기 때문에 체격조건만 가지고는 정확하게 체질을 판별하기가 어렵다. <출처: 디지털타임스>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사상체질로 보는 인간의 감정과 몸’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마음-몸-사회로 이어지는 사상체질의학으 인문사회적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인간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의 방법론으로서 제시된 체질론적 관점을 애노희락의 성정 개념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3-2 [분반:001]

강의는 총 14주차 강의로 진행되며 원격강의이다. 한의학의 한 분야인 사상체질의학을 중심으로, 동의수세보원의 문구를 중심으로 이제마 선생의 삶과 그의 사상을 위주로 진행된다.

사상인(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체질 특징과 이 사상인의 감정을 어떤식으로 다스려야 하는지가 강의의 중심이다.

2023-2 [분반:001]

<과제정보>

  1. 자기 자신에 대한 성정기반 사상인을 판별하는 과제이다. 사상인의 삶의 지도에 있는 6가지 용어(천기, 인사, 박통, 사심, 독행, 태심)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애노희락의 성정을 통해 감별 결과를 설명해야 한다.
  2. 타인에 대한 성정 기반 인터뷰를 실시하고 타인의 사상인 판별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과제이다.

2023-2 [분반:001]

<중간고사>

온라인 퀴즈 형식이며, 객관식, 단답형, 보기 맞추기 3가지 형태로 진행된다.

  • 사상의학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천기 및 인사의 네가지 요소 고르기
  • 이제마의 생애 중 옳지 않은 것
  • 음양, 사상, 팔괘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 태음인의 성질과 재간을 짝지우기
  • 애노희락의 성정 국 사상인에게 잘 발현되는 과정 연결
  • 이제마 선생의 출생지를 나타낸 지도이다. 어느지도인가?
  •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설명중 옳지않은 것은? 등

2023-2 [분반:001]

<기말고사>

오프라인 시험이며, 객관식 및 단답형 20문제, 서술 및 논술형 2문제로 진행된다.

  • 태음인, 소음인의 사상경로 설명 중 옳은 것 선택
  • 사상 경로를 고르시오
  • 사심 태심을 고르시오
  • 예시에 맞는 사상인의 불안을 고르시오
  • 사상체질별 마음과 몸의 수양 방법 서술
  • 사상인의 음식 기준 설명 틀린 것?
  • 사상인의 성정에 대한 조합으로 올바른 것?
  • 사상인의 성정에 대한 조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 등

추천 저널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최구원 (Choi, Gu-Won)
한국민족문화. 2022-07 (82):281-312
저자 백영화 (Young Hwa Baek); 김호석 (Ho Seok Kim); 이시우 (Si Woo Lee); 유종향 (Jong Hyang Ryu); 김윤영 (Yun Young Kim); 장은수 (Eun Su Jang)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02 23(1):251-258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융복합(7영역)에 개설된 사상체질로 보는 인간의 감정과 몸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