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작품의 보존과 복원

미륵사지석탑 6층까지만 복원하는 이유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미륵사지석탑은 남아 있는 우리나라 석탑 중 가장 크고 오래된 것이다. 백제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석탑의 세 면이 시멘트로 발라진 모습은 일제강점기 문화재 수난의 대표적 사례로 자주 언급됐다. 이 때문에 1999년 석탑의 시멘트를 걷어내고 제대로 복원하기로 결정하자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았다. 탑의 건축 연대(639년)를 명확히 알려주는 사리장엄구가 발견되면서 기대감은 더욱 커졌다.

그런데 복원이 시작되자 두 가지 의견이 맞섰다. 전해지는 문헌 등을 참고해 9층으로 복원하자는 주장이 하나다. 다른 하나는 사라진 부분의 형태와 구조를 알 수 있는 명확한 자료가 없기에 현재 남은 상태까지만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장장 20년 동안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투입돼 복원이 마무리된 석탑은 6층까지만 복원했다.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문화재 복원에서 절대적 기준은 없다. 유산마다 처한 환경과 상태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다만 문화재 복원의 국제적 기준으로 자주 언급되는 것이 ‘진정성’이다.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 진정성의 핵심요소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파괴, 변형, 손상된 문화재 복원은 신뢰성 있는 자료를 근거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시도됐지만, 끝내 석탑의 시멘트가 발라져 있던 부분과 사라진 6층 이상 부분의 모습을 전하는 확실한 정답을 제시할 수 없었다. 현재 상태로 알 수 있는 단계까지만 제대로 하는 것, 그것이 바로 미륵사지석탑을 6층까지 복원하기로 선택한 이유다. 물론 언젠가 석탑의 사라진 부분을 완벽하게 알려주는 새로운 유물이 발견된다거나, 획기적 연구성과가 나온다면 그때 이번에 하지 못한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후대의 몫인 셈이다. <출처: 세계일보>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미술작품의 보존과 복원’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본 교과목은 동서양 미술작품의 미술사적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예술에 대한 지식과 통찰력을 갖고 보존과 복원에 대한 과학적이고 창의적 사고 및 문화의 계승발전과 국제적인 문화교류를 알아가는 기회를 얻는 데에 목적이 있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1 [분반:001]

대면강의이며, 교재 대신 교수님이 준비한 PPT로 수업이 진행된다.

강의는 미술 보존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특히 목조, 석조, 토기 등 소재별로 작품을 나누어 어떤 방법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는지 설명한다.

평소 우리가 알고 있던 작품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으므로, 흥미롭게 들을 수 있다.

2024-1 [분반:001]

한국의 보존과학 역사와 토기, 유리, 도자미술, 금속공예, 적조미술의 보존 및 복원 방법을 학습한다. 이때, 소재별 이루어지는 보존처리 흐름도를 주의 깊에 학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중요한 유물 복원 사례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있으며, 이에 대한 복원방법과 역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목조, 벽화, 지류 미술과 한국의 현대 미술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한국 현대 미술에서는 물감의 종류와 그림 기법을 중심으로 학습하면 좋다.

2024-1 [분반:001]

<과제정보>

2024년 1학기에는 수업 대체과제로서 총 3개 과제가 있었다.

  • 과제 중 2개는 같은 주제,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우리 주변을 살펴 파손된 물건 한가지를 선택한 후 이를 복원하는 방법을 자신의 생각과 판단으로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었다.(A4 1장 분량)
  • 나머지 하나는 미술작품의 보존과 복원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는 것이다.(A4 1장 분량)

2024-1 [분반:001]

<시험정보>

중간고사: 단답식 1문제와 서술형 2문제로 구성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보존 역사와 방법에 대해 모두 서술
  • 보존 복원의 태도와 자세에 관해 서술
  • 보존 과학에서 중요한 부분은 ( ),( )이다.
  • 문화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 )보존처리 방법과 적합한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 경주의 대형 고분인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유물은 ( )이다.
  • 에폭시 수지는 접착력이 좋고 고온에 강하지만, 시간 경과 후 ( )이 발생한다.

기말고사: 단답식 20문제와 서술형 1문제로 구성

  • 수침 목재 복원 방법에 대해 서술
  • 물감의 종류와 전색제를 알맞게 채우기
  • 작물 유물의 보존 처리 방법 중 세척 시 용제 선택 기준을 적으시오
  • 벽 화면과 채색면에 대한 일시적인 보호조치를 ( )라한다.
  • 화장지법은 습지벽화법과 ( )로 나뉜다.

추천 저널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05-1409
국립문화재연구소
undefined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05-1409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허보람 (Heo, Bo ram); 한경순 (Han, Kyeong so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3-12 14:505-525
저자 정민영 (Min-Young Jung)
대한토목학회지. 2016-09 64(9):68-72
저자 권양희 / Kwon Yang-hee
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 /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Sep 30, 2022 13(3):31
저자 심규동 (Kyudong Sim); 김창섭 (Changseob Kim); 박종일 (Jong-Il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06 2018(6):136-138
저자 조하진; 채승아; 안유빈; 오순옥; 이태종; Cho, Ha Jin; Chae, Seung A; Ahn, Yubin; Oh, Soon Ok; Lee, Tae-jong
한국전통문화연구, 11/30/2023, Vol. 32, p. 363-391
저자 김은진 (Kim, Eun Jin); 김태은 (Kim, Tae Eun); 한경순 (Han, Kyeong So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4-12 18:149-160
저자 허보람 (Heo, Bo ram); 한경순 (Han, Kyeong so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3-12 14:505-525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문학과 예술(3영역)에 개설된 미술작품의 보존과 복원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