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이 마땅히 누려야 할 자유라는 권리도 타인의 자유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즉, 법치 안에서라야 정의롭게 보호되고 유지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법치는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반드시 선행돼야 할 기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의의 여신인 ‘디케’의 이름으로부터 법과 정의라는 말이 유래된 것처럼 서구문화에서 법과 정의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진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빈부귀천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적용되는 법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정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모든 사람이 법 앞에 평등하다는 말은 모든 사람이 법 앞에 동일한 권리를 보장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법 앞에서는 누구라도 어떠한 특권이나 특혜를 받을 수 없으며 아무리 악한 사람이라도 오직 법에 의해, 법대로만 처벌받아야 한다.<출처: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1 [분반:068]
본 강의는 법학을 전공으로 하지 않는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법의 구성과 내용, 의의를 학습하게 된다.
“법이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시작해 헌법, 민법, 형법, 소송법 등 전반적인 법의 기초를 배운다. 법학 전체를 한 학기에 다루는 만큼 분량은 적지 않지만, 판례와 실제 사례를 통해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
2022-1 [분반:068]
초기주차에는 법이란 무엇이며 국가에서 법은 어떻게 운영되는지(법조삼륜), 실체법과 절차법은 무엇이며 법학을 학습하는 올바른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배운다.
또 우리나라 최고의 법규인 헌법의 의의, 구성, 역사 및 헌법재판에 대해 베우게 된다. “민법”과 “형법”은 비중이 상당이 크며 구성을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을 상세하게 배우게 되며 교재 후반부의 “행정법”과 “상법”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다.
2022-1 [분반:068]
<과제 및 시험정보>
중간고사없이 기말고사만 1회 실시하였음. 시험문제는 단답형, OX, 빈칸 채우기 및 간단한 서술문제가 여러 페이지로 출제되었다.
시험범위는 헌법, 민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으로 학습한 전 범위에서 출제되었다.단, 교재의 1~4장 법의기초, 10장 행정법, 11장 상법은 시험 범위에서 제외되었다.
문제의 난이도는 평이한편으로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기억하고 있으면 바로 풀 수 있는 편이었다.
2022-1 [분반:068]
<시험문제 예시>
- 위법성 조각사유 3가지 서술
- 관습헌법의 성립요건 5가지 서술
- 죄형법정주의의 원칙 서술
- 임대차3법에 대한 서술
추천 도서
더 찾아보기추천 사이트
추천 영상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사회와 문화(2영역)에 개설된 대학생을 위한 법학입문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