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뿐만 아니라 과거 역사 속에서도 ESG를 실천한 사례가 많다”며 “중요 문화재인 구례 ‘운조루’라는 고택에는 주위의 배고픈 사람이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쌀독을 두고 나눔의 정신을 실천해 귀감이 되고 있다”고 예시를 들었다. 그는 “문익점도 목화 재배와 면포 생산 보급을 통해 ESG를 실천한 인물이다”며 “원나라에서 목화 씨앗을 가지고 돌아와 백성들에게 목화씨를 무료로 나눠 주고, 재배기술과 생산기술 등의 정보를 대가 없이 공유했다. 이 같은 ‘애민정신’은 기업가들이 본받아야 하는 점이다”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역사를 통해 과거의 아픔과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고전 속에서 답을 찾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다”며 “조상들의 훌륭한 정신을 본받아 우리의 소중한 역사와 문화를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남도일>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2 [분반:001]
강의는 대면으로 진행되며 2시간 30분~3시간 정도 진행된다. 산학협력관의 큰 강의실에서 120명 정도의 학생들과 강의를 수강한다. 지정좌석제를 실시하며, 학생 수가 많다보니 교수님의 강의가 중점으로 이루어진다. 강의평가방법은 상대평가로 이루어지며 출석(20%), 중간고사(30%), 기말고사(50%)으로 구성된다. 본 강의는 창조사회의 대두와 리더십 패러다임의 행동, 조직과 사회가 급변하는 시대에 리더가 갖추어야 할 리더십과 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능력을 함양한다. 시대적 흐름과 관련하여 기업가정신의 요소들을 설명하고 창업의 내외부적 환경 다양성과 변수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을 확장한다. 또한 창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경험자로부터 배우는 실무 경험을 토론으로 이끌어내어 이론과 실무지식을 겸비한 예비 창업 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2024-2 [분반:001]
<강의정보>
강의는 ‘기업가정신’,’창업’ 2가지 큰 주제로 진행된다. 그 중에서도 ‘창업’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업은 주로 손은일 교수님께서 진행하시지만 창업기업의 대표님들의 초청강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론적 내용 뿐만아니라 창업을 경험해 보신 분들의 진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사례로 보는 비즈니스 성장 전략,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방법, 사업계획서 작성, 스타트업 마케팅, 창업 로드맵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중간고사 이후는 ‘기업가정신’에 초점을 맞춘다. 영상 자료를 많이 접할 수 있고 ‘기업가정신과 창의적 사고’, ‘창업입문’ 강의를 들은 사람이라면 해당 수업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수월 할 것이다.
2024-2 [분반:001]
<과제정보>
과제는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 작성이 1회 있다. 성적 반영 비율은 30%이며, 과제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레포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문제예시)
* 기업가정신의 핵심적인 의미를 기술하고, 국내 기업인의 사례를 기업가정신 5가지요인과 연계하여 서술.
*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방법인 디자인 싱킹 프로세스 5단계의 내용을 설명하고, 디자인 싱킹 사례 제시하기.
* ESG의 개념설명, E/S/G 각 분야별 주요 이슈 제시, 선정 이유와 대응 방안 설명.
* 농총 융복합산업(6차산업)의 정의 기술, 농촌 융복합산업 사업자 인증제와 자업자 인증신청 자격요건 설명
2024-2 [분반:001]
<시험정보>
시험은 기말고사 1번만 진행되고, 50분 소요된다. 여러 강사님들도 함께 진행하시는 수업이지만 주교수님인 손은일 교수님 강의안 자료에서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편이다.
(문제예시)
* 스타트업 순서
*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독일과 미국의 정책
* 단기부채에 대해 알수 있는 계정
* 기업가정신에 대한 설명
* 사회적 기업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