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jour!

프랑스어(I), (II)

프랑스어의 명칭 français는 12세기 파리 지역에서 사용하던 방언 프랑시엥어(le francien)로부터 유래한다. 12~13세기에 새로운 왕조가 파리에 자리를 잡으면서 행정과 학문 언어의 지위를 얻었고, 정치, 경제적인 확장을 통해 유럽 전역의 엘리트 계층까지 프랑스어가 전파된다. 계통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 > 라틴어족에 속하며, A부터 Z까지 26개의 알파벳 문자로 표기한다.

프랑스어 사용자는 대략 3억 명 정도로 추산되고, 세계 57개국의 공식어나 행정어로 사용되며 UN과 같은 여러 국제기관의 공식 언어로서 위상을 갖고 있다. 프랑스어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주어-동사-목적어 순으로 문장이 구성된다. 이 외에도 프랑스어의 주요 특징으로, 명사의 성(남성/여성)과 수(단수/복수)를 구분하고 주어나 시제에 따라 복잡하게 동사가 활용되며, 다른 언어에 비해 시제와 법이 다양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출처: 세계 언어백과>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프랑스어(I)’, ‘프랑스어(II)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프랑스어 발음, 문법의 기본적인 골격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표현을 학습하여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의 기본적 4가지 능력을 익힐 수 있다.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프랑스어(I)’, ‘프랑스어(II)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프랑스어 발음, 문법의 기본적인 골격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표현을 학습하여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의 기본적 4가지 능력을 익힐 수 있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1 프랑스어(I) [분반:004]

하루는 한국인 교수님, 하루는 원어민 교수님이 강의하셨다. 코로나로 비대면 ZOOM 수업을 하였고, 상황이 양호해지면서 한국인 교수님만 2달간 대면 수업으로 변경하였다. 한국인 교수님만 과제가 있는데 비대면으로 수업하는 동안은 과제가 2개 있었다. 주어진 단어 옆에 발음을 한국어로 적기, 자체 교재에 있는 질문에 프랑스어로 답변 작성하기이다. 대면 수업으로 변경되면서 받아쓰기가 추가되었다. 시험은 중간고사 1회, 기말고사 2회로 진행된다.

2022-1 프랑스어(I) [분반:004]

받아쓰기는 단원이 끝날 때마다 치는데 거의 일주일에 한 번씩 시험을 보았다. 프랑스어로 단어를 불러주시면 프랑스어 스펠링과 한국어 뜻을 적는 시험이다. 범위는 한 단원의 제일 처음 배우는 본문으로, 따로 단어가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모르는 단어와 뜻을 정리해 외워야 한다. 악센트의 방향이 틀리면 틀린 것으로 간주하니 꼼꼼하게 외워야 하며, 스펠링과 한국어 뜻 둘 다 맞아야 정답이다.

2022-1 프랑스어(I) [분반:004]

발음규칙이 너무 많아서 읽는 방법을 한국어로 옆에 써두지 않으면 제대로 읽을 수 없다. 네이버 프랑스어 사전에 검색해서 하나하나 들어보고 발음을 다시 기억했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들었다. 프랑스어는 예외 동사가 많다. 하지만 기본 형태 하나만 단어장에 나와 있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 변하는지 하나하나 검색해봐야 한다.

2022-1 프랑스어(I) [분반:004]

중간고사는 원어민 교수님만 진행하셨다. 범위는 1~6과까지이고 시험시간은 30분이다. ZOOM에 접속한 뒤 워드 파일을 받아 답안을 작성하고 PLATO에 업로드하는 방식이다. 질문이 모두 영어라 처음 받으면 곤란할 수 있다. 발음이 다른 스펠링 고르기, 주어진 질문에 대답 작성하기, 문장 배열하기가 나온다. 기말고사는 모두 대면 시험이다. 원어민 교수님은 중간고사 방식과 같지만 1~12과까지가 범위라서 외울 것이 많다. 마지막 문제는 자기소개를 프랑스어로 작성하는 것이었다. 한국인 교수님은 시험 범위가 작다. 단어의 뜻 적기, 프랑스어 질문을 보고 문장쓰기 위주로 나왔다.

2022-2 프랑스어(I) [분반:014]

프랑스어의 기초 문법과 기초 회화를 위주로 강의하신다. 교수님이 교재의 단원별로 나오는 회화, 표현, 문법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먼저 하신다. 짧은 대화문과 예문을 들려주고 그 예문을 짝을 정해 실제로 대화해보고 연습하여 발표하면 가산점을 주신다. 수업 시간에 배운 어휘를 통해 대화문 또는 예문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변형하여 연습한 다음 발표를 하기도 한다. 수업 후반부로 갈수록 최대한 프랑스어로만 수업을 하려고 하시며, 책의 빈칸과 같은 문제를 앞에 나와서 직접 풀도록 유도하신다.

2022-2 프랑스어(I) [분반:014]

과제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가끔씩 교재 뒷부분의 워크북 같은 부분을 채워오라고 하시거나 알파벳 발음 영상, 숫자 읽는 법과 같은 경우를 복습해오라고 숙제를 내주는 정도가 끝이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시고 노래를 통해 알파벳 발음 수업을 하시기도 한다. 질문도 잘 받아주시고 수업 중간 중간에 학생들에게 개별 피드백을 주신다. 시험이 끝나면 학생들 개인별로 시험지를 보여주고 어떤 부분이 부족하였는지, 어떤 부분이 어려웠는지 소통하며 피드백해주신다.

2022-2 프랑스어(I) [분반:014]

중간고사는 단어들 중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이 다른 것 고르기, 한글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 인칭을 주고 어떤 동사가 와야 하는지 적기, 남성형을 여성형으로 바꾸는 문제가 나왔다. 보너스 문제로 숫자를 프랑스어로 적는 문제를 출제하여 가산점을 주셨다. 기말고사는 단어들 중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이 다른 것 고르기, 남성형을 여성형으로 바꾸기, 단수형을 복수형으로 바꾸기, 사람 묘사하기, 한글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 동사를 인칭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적기, 숫자를 프랑스어로 적는 문제가 나왔다. 보너스 문제로 이때까지 배운 모든 단어와 표현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묘사하는 문제가 나왔다.

2024-1 프랑스어(I) [분반:009]

대면방식으로 프랑스어를 가르쳐주시고 학생들에게 대답을 요구한다. 제일 처음에는 프랑스어를 읽는 법을 먼저 가르쳐 주시고 2-3주차 이후 학생들이 모두 프랑스어를 보고 읽을 수준이 되면 다음 대화문은 학생들에게 계속해서 읽어보라고 시키신다. 교수님은 처음보는 프랑스어도 읽어내는 능력을 기르라고 강조하시면서 학생들에게 계속 말하게 시키고 대화문을 말하게끔 지정해서 서로 대화문을 읽게 시키시기도 한다.

보통 강의 내용은 프랑스어 발음법과 대화문에 있는 단어와 문법을 배운다. 그리고 중간고사는 시행하지 않고 대신해서 받아쓰기 딕테시험을 친다. 딕테 시험은 보통 일주일 전쯤 공지되며 범위도 나온다. 단원 테스트 개념으로 딕테이션 테스트를 시행한다. 프랑스어를 읽어나가는 데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며 단어나 문법을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대화문 안에 있는 단어를 익히고 대화문 안에서 쓰이고 있는 문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신다.

2024-1 프랑스어(I) [분반:009]

프랑스어의 기초를 다진다. 어떻게 읽는지, 간단한 Be 동사, 일반동사를 대화문으로 쓰인 본문 안에서 배우며, 인칭에 맞는 규칙변화와 불규칙 변화, 여성과 남성형의 명사에 따른 사용을 배우고 대화문이 단원마다 존재하고 대화문을 통해 단어, 문법, 숙어를 익히는 방식이다.

Ex) Bonjour, Isabelle. Ça va? – Tres bien, merci.

안녕, 이사벨. 잘지내? – 아주 잘 지내, 고마워.

Je m’appelle Mimi : 내이름은 미미야

appeler-동사원형->인칭에 따라 어미가 변화함(Je m’appelle)

2024-1 프랑스어(I) [분반:009]

<과제 정보>

대화문 한 단원이 끝나면 보통 녹음 과제가 올라온다. 매주 올라오는 것은 아니나, 보통 거의 매 주차 과제가 있다고 보면 된다. 대화문을 녹음해서 올리는 과제이며, 교수님께서 학생들이 옳게 발음하는지를 보기 위한 것이므로 수업시간에 대화문을 읽고 발음할 때 집중을 잘 해서 어떻게 발음하는지를 잘 받아적고 입력하고 있어야 한다. 번역기 발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발음으로 또박또박 자신감 있게 뱉길 원하시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잘 집중해서 발음을 적어오는 방식을 추천한다.

평소 녹음 과제는 과제 비율로 포함되고 읽기 비율이 따로 있는데 이번 학기에는 9과 읽기 녹음으로 대체되었다. 교수님이 모든 녹음을 꼼꼼하게 듣고 체크하시는 것 같으니 그때그때 녹음과제를 수행할 때 발음과 능수능란한 어투에 신경써서 녹음하는 것이 높은 성적을 받기에 좋을 듯 하다.

2024-1 프랑스어(I) [분반:009]

<시험 정보>

딕테이션 시험: 중간고사 시험은 따로 존재하지 않으나 딕테 시험이 대신 한다. 딕테 시험은 일자에 따라 다른 듯하지만 학기 전반에 걸쳐 꾸준히 진행된다. 일주일 전에 범위와 시험 날짜를 공지해주신다. 거의 단원평가 개념으로 시행된다고 보면 된다. 범위는 보통 배웠던 대화문이고, 대화문에서 간단한 문장, 단어, 숙어를 교수님께서 프랑스어로 읽으면 학생들은 프랑스어/한국어나 영어로 뜻을 받아 적으면 된다. 20개 정도를 불러주신다.

기말고사: 딕테이션 테스트를 거의 단원 하나가 끝날 때마다 치루며, 중간고사를 따로 치지 않는다. 허나 기말고사는 5~10과까지 범위를 중심으로 출제된다. 하지만 1~4과의 단어와 문장, 어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사실상 1~10과 전체가 모두 기말고사 범위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시험범위에 본문만 나온다고 되어 있지만 그렇지는 않다. 본문을 중심으로 나오되, 1~4과에서 나오는 표현을 쓰라고 하거나, 프랑스어로 자기소개 문장을 요구하는 문제도 출제되었다. 교수님이 딕테이션 시험때 문제로 출제했던 것이거나 수업시간에 강조한 것들이 위주로 출제된다.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외국어(6영역)에 개설된 프랑스어(I), 프랑스어(II)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