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의 우주는 137억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존재해 왔기에 매우 안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여러 실험 결과에 따르면, 우주는 마치 절벽 끝에서 위태롭게 서 있는 것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다. 그리고 그 원인은 단 하나의 근본적인 입자, 바로 힉스 보손(Higgs boson)의 불안정성에 있다. 최근 국제 물리학 저널(Physics Letters B)에 게재가 승인된 연구에서 나와 동료들은, 원시 블랙홀(light primordial black holes)이라는 천체를 포함하는 초기 우주 모델들이 옳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였다. 만약 이러한 블랙홀이 실제로 존재했다면, 힉스 보손이 이미 우주를 붕괴시켰을 것이기 때문이다. <출처: 참세상>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4-1 [분반:001]
본 강의는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매주 3-4개 정도의 강의 영상이 업로드되며, 한 주가 지나기 전에 모두 이수해야 한다.
매주 리포트 제출(50%), 중간 및 기말 논문(40%), 출석(10%)
교양서적들에서 접하기 어려운 가장 최신의 이론 물리학(입자물리, 천체물리 및 우주론)의 성과들을 이야기하되, 수학 및 물리학의 지식이 없더라도 흥미롭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 편, 수학 및 물리학의 지식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과학사적 및 철학적 문제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크게 네가지 주제(세상을 보는 눈 / 자연의 법칙 / 우리가 아직 모르는 것들 / 이론물리학의 최전선)로 구분한다. 물리학의 과거 여러 성과들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최선의 확립된 법칙을 먼저 살펴본 후 이론 물리학자들이 현재 직면한 곤란한 문제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물리학자들의 노력에 대해 살펴본다.
2024-1 [분반:001]
강의 주제는 이론물리학의 전반에 걸쳐있다. 전반부는 역사와 기초 위주로 진행되는 한편, 후반부로 갈수록 고도한 이론이나 실험들을 다룬다.
전반부: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를 비롯한 물리학의 기초, 칸트를 통한 뉴턴의 운동법칙 이해, 고전역학, 슈뢰딩거의 방정식과 파동함수, 양자역학과 입자물리학, 빅뱅 우주이론 등 고전물리학에서 시작하여 양자역학을 거쳐 우주론까지 다루게 된다. 특징적인 부분은 강의 중간에 인문학적인 요소가 섞여 있기 때문에 물리학에 관련된 전문지식 없이도 이해가 수월하다.
후반부: 우주론을 중심으로 다양한 천체물리학에 대해 배우게 된다.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의 비교부터 시작하여 호킹복사, 양자 중력 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론들이 논의된다. 특히 교수님께서 전공하셨던 분야인 블랙홀에 대해 심도있게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굉장히 흥미로운 역설들을 살펴보게 된다. 전반부보다 후반부가 직관적이로, 우주에서 펼쳐지는 일들을 알아볼 수 있어 흥미롭다.
2024-1 [분반:001]
<과제정보>
본 강의는 과제가 평가항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강의를 듣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해 과제가 나간다. 매주 3-4개의 보고서를 제출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강의를 미리 수강하고 작성하는 것이 좋다. 보통 두가지 주제를 토대로 3-4장의 보고서를 매주 작성하여 플라토에 업로드한다.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시간은 금~일요일까지이며 해당 강의의 보고서는 다음주 금요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또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는 각10장 분량 이상의 소논문 제출로 대체되기 때문에 시간분배를 잘 하는게 중요하다.
모든 부분을 상상해서 적으려고 하기 보다는 참고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굳히는 방향으로 서술하는 것이 되움이 된다. 또한 시각자료를 첨부하는 것도 좋다.
영상을 보지않고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모든 영상을 수강 한 후 해당 회차 리포트의 주제를 확인하고 본인 나름의 생각을 정리한 후 작성해야 한다.
2024-1 [분반:001]
<시험정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는 따로 대면시험 없이 모두 10장 분량의 소논문으로 대체된다. 주제는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정리하거나 새로운 주제로 시작해도 좋다. 다만, 교수님이 요구하시는 것은 하나의 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이다. 물리학적인 지식이나 이해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성실성과 비전공자 입장에서 바라보는 참신한 생각 등을 중시하신다. 학기 막바지에 이르면 교수님께서 모든 보고서를 피드백 후 채점해 주신다.
추천 도서
추천 저널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추천 사이트
추천 기사
추천 영상


추천 영화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과학과 기술(4영역)에 개설된 ZF1101041, 이론물리학의 최전선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