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데이터관리 #2] 연구데이터 관리 정책

[연구데이터관리 #2]

서론

국가정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 1월 국가 R&D 추진 과정에서 축적되는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공유하고 연구자가 새로운 지식과 가치 창출에 연구데이터를 적극 활용토록 지원하기 위해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 전략」을 마련하였습니다.
  • 이는 세계적으로 데이터 중심 R&D 활성화되어 데이터 분석이 연구개발의 주요 추진 동력으로 부각되고, 이를 활용한 다분야 융합·공동연구가 활성화됨에 따라 연구데이터 공유·활용체계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내는 연구데이터를 성과물로 관리하지 않는 등 관련 제도 인프라가 미비한 실정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아래의 핵심 추진과제를 추진할 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핵심 추진과제>

undefined

법령개정

연구데이터 관리 활용에 대한 세부 내용을 하위규정에 반영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개정(2019. 10. 21) 하였습니다.

<주요 개정 내용>

정의 및 DMP 도입 근거 ㆍ연구데이터 정의(2조 18항 신설)

ㆍ데이터관리계획 정의(2조 19항 신설)

ㆍ연구데이터 생산 · 보존 · 관리 및 공동활용 시책 수립 추진(25조 28항 신설)

데이터관리계획(DMP) 제출 의무 사항 ㆍ연구개발계획서 작성 시 DMP 제출 요구(6조 4항 개정)

ㆍ연구개발과제의 선정 시 검토 요구(7조 3항 개정)

ㆍ과제 협약 체결 시 DMP 제출 요구 ·  준수(9조 1항 개정)

데이터관리계획(DMP) 보고 ㆍ최종보고서 작성 시 DMP 추가 요구(15조 2항 개정)
데이터관리계획(DMP) 관리 및 연계 ㆍDMP에 포함된 정보 등록 및 연계(25조 16항 개정)

하위 규정 마련

연구데이터 관리 활용에 대한  세부 내용을 하위규정에 반영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개정(2019. 10. 21) 하였습니다.

  • 연구데이터의 정의 및 데이터관리계획의 도입 (제2조 제28호ㆍ제29호, 제17조 제4항 제7호 및 제19조 제1항 제2호 등 신설)
  • 연구결과의 검증에 필수적인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시 데이터관리계획을 수립 (DMP 서식 및 설명)

산하기관의 이행방안 마련 및 추진

  [DMP 시범 적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을 중심으로 데이터관리계획(DMP) 적용을 위한 이행방안 마련 및 추진하여 일부 과제에 DMP를 시범 적용하고 있습니다.

  • 한국연구재단 : 4개 분야 11개 과제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PT) : 4개 분야 10개 과제
  • 국가과학기술연구회(NTS) 산하 출연 연구기관은 연구회의  ‘소관기관 주요 사업 관리 규정’을 개정 후 2020년부터 DMP를 시범 적용할 예정

 

   [연구개발사업 관리 매뉴얼 개정]

    연구기관 또는 연구자들이 국가 연구개발사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국가 연구개발사업 관리 매뉴얼’에 반영하였습니다.

  • DMP에 대한 표준 서식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연구자들이 참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DMP 예시를 수록
  • 다년 사업인 경우 연구데이터에 대한 연차 실적을 보고하도록 변형된 양식을 제시

 KISTEP 국가 연구개발사업 관리 매뉴얼 (2019)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 : DataOn (따로 빼는 안 고려)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 바로 가기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 서비스(Korea Research Data Platform Service)’는 국내외 연구데이터 정보를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 연구데이터 포털로 연구데이터를 검색·공유·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연구자들끼리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 활용해 국가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9년 2월 16일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대학 등이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등록, 관리, 검색,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커뮤니티 지원, 연구데이터 분석 환경 지원 등의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관의 연구데이터 시스템과 연계해 서비스합니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와 연계해 해당 연구데이터를 산출한 과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연구데이터에 DOI(Digital Object Identifier)가 부여돼 데이터의 식별, 활용과 인용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 KISTI의 GSDC, 한국정보화진흥원의 AI hub,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연구데이터가 연계돼 있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과도 연계할 예정입니다.
  • 유럽 최대의 연구데이터 플랫폼인 OpenAIRE(Open access infrastructure for research in Europe), 호주의 클라우드 기반 연구데이터 프로젝트 ARDC(Australian Research Data Commons)와 연계됐으며,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 (NII: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와 연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가연구데이터 플랫폼 홍보 영상> <국가연구데이터 플랫폼 시범 서비스 시연>

연구데이터의 관리에 대해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국내 펀딩기관에서도 DMP를 요구하는 기관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DMP란 무엇일까요? 다음 가이드에서는 연구데이터관리계획(DM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