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오신화>의 중국 전기소설 수용과 독창성 연구 : <전등신화>와 <금오신화>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Utilization and Originality of New Tales of the Golden Turtle for Chinses Legendary Novels:A study on New Tales of the Carved Lamp and New Tales of the Golden Turtl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금오신화』는 한국 고전소설의 명작이자 최초의 소설 작품으로 소설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금오신화』에는 개인적인 서사적 색채를 드러낸 부분도 있으며, 시문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훌륭한데, 한편으로는『전등신화』가 『금오신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문체적 측면에서는 전기 소설의 시문 결합적 특징을 차용하였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인귀교환과 몽유록을 주제로 기묘하고 비극적인 이야기를 서술하였다. 이 연구는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및 중국 전기 소설의 영향 관계와 수용양상을 분석하면서도 『금오신화』의 서사적 독창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서론 부분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두 작품의 저자, 작품 내용 및 문화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두 지역의 전기 소설의 발전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전등신화』와 『금오신화』가 각각 탄생한 문학적 및 역사적 요소를 분석한 것이다. 본론 부분에서는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두 소설의 특징을 더 알아보고 서사 기법의 관점에서『금오신화』의 수용성과 독창성을 탐구하였다. 나아가 서사 기법 및 장르의 관점에서 『금오신화』의 전기적 특성을 고증한다. 유명 서사라는 서사적 분석을 시작으로 소설 속 사람과 귀신 간의 사랑의 특징과 현실감각의 작용을 탐구한다. 비극적 결말에 대한 분석은 한국의 선행연구 성과를 빌려 『금오신화』에 담긴 독특한 비극적 심정을 밝히고 작가의 창작 의도를 탐구한다. 소설에 삽입된 시에 대해 서사성, 서정(抒情)성 및 미학적 관점에서 『금오신화』의 시의 서사적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고 시문소설의 문체를 다시 확인한다. 또한, 소설 속의 환경, 인물, 줄거리 등에서 김시습의 독특한 창의력과 상상력을 연구함으로써 『금오신화』에 나타나는 허구적 서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시공간 서사는 주로 중국 고전 서사학 방법론을 빌려 소설에 사용되는 시공간의 설정 분석하여, 김시습이 공간적 설정에 의하여 민족적 정사를 표현하는 의도를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먼저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영향 관계를 비교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전기 소설이라는 장르의 문체와 서사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와 동시에 서사학과 문체론의 관점에서 텍스트 분석을 통해 『금오신화』의 서사적 특성을 연구하여 김시습이 창작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독창성을 더욱 확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