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ole of combined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and exercise stress echocardiography in chronic thromboembolic disease / 만성폐색전증 환자에서의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와 운동부하 심장초음파검사의 유용성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disease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exercise stress echocardiography
Language
English
Abstract
Background: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disease (CTEPD) without pulmonary hypertension (PH) may cause significant exercise limitations. Guidelines for treatments of CTEPD with mild PH or without PH are controversial. Purpose: We aimed to evaluate cardiopulmonary function through a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CPET) with stress echocardiography (ESE) and to determine whether exercise-induced PH can explain exercise limitations in CTEPD patients with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mPAP) < 30 mmHg.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CTEPD and mPAP less than 30mmHg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21 were identified from our center director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at baseline (resting state) and immediately after CPET. ESE-derived parameters and CPET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hemodynamic parameters measured through right heart catheterization. Results: A total of 37 patients were enrolled. Of these, 35 patients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with CTEPH and had undergone pulmonary endarterectomy, balloon pulmonary angioplasty, or both. Most of the patients complained of WHO functional class II or III dyspnea.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PVR)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185.0 ± 102.2 dyne.sec.cm-5). Also, predicted peak VO2 was decreased in CPET (72.2 ± 17.3 %). In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the mPAP and PVR at rest, the lower was peak VO2 during exercise. Basal right ventricular (RV) function was normal, and a substantial increase in RV systolic pressure (RVSP) was observed during exercise (RVSP: pre-exercise 36.2 ± 11.9, post-exercise 60.7 ± 19.3, p value
만성폐색성 폐고혈압 뿐만 아니라, 폐고혈압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폐색전증도 운동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폐고혈압이 없거나 경도의 폐고혈압을 가진 만성폐색전증 환자에서 시술 혹은 수술적 치료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와 운동부하심장초음파 검사를 함께 시행함으로써, 만성폐색전증에서 운동시 혈역학적 변화를 파악하고 과연 폐동맥압력이 30mmHg 미만인 이 환자들의 운동시 호흡곤란을 운동유발 폐고혈압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고자 기획되었다. 2014년 4월에서 2021년 10월까지 만성폐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평균폐동맥압력이 30mmHg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흉부심장초음파는 안정시와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 직후에 각각 시행되었다. 운동부하심장초음파와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로부터 얻은 결과와 우심도자술을 통해 측정된 혈역학적 지표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들 중 35명이 기존에 만성폐색성폐고혈압으로 진단받고 폐동맥 혈전내막제거술이나 경피적 풍선성형술을 시행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WHO functional class II, III에 해당하는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다. 폐혈관저항은 정상보다 약간 높은 185.0±102.2 dyne.sec.cm-5로 측정되었으며,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에서 최대산소섭취량 (predicted peak VO2)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관분석에서 안정시 평균폐동맥압력이나 폐혈관저항이 높을수록, 운동부하검사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운동시 우심실 수축기 압력이 급상승하는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주목할 만한 것은 동시에 우심실기능저하가 발생하였던 점이다. 폐고혈압이 없거나 경미한 만성폐색전증 환자도 운동시 폐고혈압이 유발되며, 실제로 운동기능장애를 동반한다. 운동시 우심실크기 증가와 우심실기능저하가 이러한 운동기능장애와 관련이 있고, 따라서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 및 운동부하 심장초음파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이 이러한 환자의 호흡곤란의 주요 원인을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치료 대상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