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농복합형 평생학습도시 운영 및 성과관리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Oper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Urban-Rural Complex Lifelong Learning Cit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평생학습도시를 신청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증가함에 따라 선정되는 도시들도 많아졌지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평생학습도시사업은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농복합형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증평군의 평생학습도시 운영 및 성과관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평생학습도시 운영과정에서 축적된 자표들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양적 발전이 아닌 질적 발전을 위해 평생학습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증평군의 평생학습도시 사업 추진체계는 적절한가? 둘째, 증평군의 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은 지역 현안을 잘 반영하였는가? 셋째, 증평군의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지역 발전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이 연구에서는 제2차 증평군 평생학습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시 주민과 평생학습 유관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중장기발전계획과 자체평가보고서 등을 내용분석하였다. 2022년에 실시된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 자체평가보고서 및 2021년 증평군중장기발전계획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평생학습도시의 사업 추진체계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운영되는 평생학습도시사업은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경쟁력 제고를 통한 사회통합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 충원을 통한 증평군 평생학습의 체계적 관리 및 교육관련 업무의 효율적 운영으로 평생학습도시 재도약의 발판을 구축하였다. 평생교육사 충원을 통해 특성화 사업 및 장애인 평생교육 등의 교육 프로그램 영역을 확장시켜 나갔다. 셋째, 평생학습 프로그램 정규과정 운영,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등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주민 설문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서 학습자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등 개선점을 찾기 위한 노력을 전개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원스톱 서비스 및 정보력 향상을 위하여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주민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정보시스템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수시로 개선하였으며, 프로그램 홍보를 위해 홈페이지를 비롯한 학습자 친화적 매체를 다각도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