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 내용 분석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단원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지속가능한 기술의 분류를 기반으로 ‘수준’, ‘유형’, ‘단계’로 범주를 선정하였다. 범주를 토대로 단원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고 다음과 같은 절차로 분석하였다.첫째,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 내용 분석틀에 따른 ‘지속가능한 기술’관련 단원 내용의 빈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둘째,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 내용 분석틀에 따른 ‘지속가능한 기술’관련 단원 내용의 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위 절차에 따라 분석된 결과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 내용이 교과서에 균형 있게 반영되었는지, 강조된 내용 요소가 무엇인가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기술 단원 내용을 수준, 유형, 단계별 범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지역적 수준의 지속가능한 생산 기술’내용의 빈도와 강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지구적 수준의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내용은 전혀 구성되지 않았다. 둘째, 빈도 분석 결과, 수준 범주에서는 ‘지역적 수준’, ‘개인적 수준’, ‘국가적 수준’의 순으로, 유형 범주에서는 ‘생산 기술’, ‘수송 기술’, ‘통신 기술’의 순으로, 단계 범주에서는‘과정’, ‘투입’, ‘산출’의 순으로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셋째, 강도 분석 결과, 수준 범주에서는 ‘지역적 수준’, ‘개인적 수준’, ‘국가적 수준’의 순으로 높은 강도가 나타났고, 요구 비율과 비교하여 ‘지역적 수준’은 증가하였고, ‘개인적 수준’과 ‘국가적 수준’은 감소하였다. 유형 범주에서 ‘생산 기술’, ‘통신 기술’, ‘수송 기술’의 순으로 강도가 높게 나타났고, 요구 비율보다 ‘생산 기술’은 증가하였고 ‘통신 기술’과 ‘수송 기술’은 감소하였다. 단계 범주에서는 ‘투입’, ‘과정’, ‘산출’의 순으로 높은 강도가 나타났으며, 요구 비율보다 ‘투입’은 감소하였고 ‘과정’과 ‘산출’은 증가하였다.이상의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기술’ 관련 단원의 내용 요소가 균형 있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