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Social Skills of Childre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
아동
사회적 기술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협동과 자기주장, 공감,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H군에 소재한 A지역아동센터에 출석중인 초등 2-3학년 아동 중 사회적 기술의 증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아동으로 담당사회복지사의 추천을 받아 본 연구 목적 및 참여를 위한 보호자 동의서를 제출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7년 2월 6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매회 6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John Matson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박난숙과 오경자(1992)가 번안한 척도인 Matson의 아동 사회기술 평가 척도(교사용)와 Gresham과 Elliot(1990)이 3세-18세 아동·청소년을 위해 개발한 척도를 문성원(1996)이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 수정한 척도 중 SSRS-학생용 39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사용한 아동 사회기술 평가 척도(아동용)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집단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사회적 기술 검사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교사평정에 의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평정에 의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기술이 낮은 아동들이 협동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기주장, 공감, 자기조절의 긍정적인 변화에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cooperation and self-assertion, empathy, self-control). The subjects were 10 children whom the corresponding social workers recommended as those who need to improve social skills among 2nd~3rd graders attending A-region children's center located in H-gun and who have submitted the guardian's consent for the aim and participation of this research.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of 60 minutes each from February 6th, 2017 to April 24th, 2017. For the research tool, this study employed the children's social skill evaluation scale (for children) which used 5-point Likert scale for 39 questions for SSRS-student among the children's social skill evaluation scale (for teachers) of Matson, which was adapted by Nan-Suk Park and Gyeong-Ja Oh(1992) from the scale developed by John Matson and the scale adapted/modified by Seong-Won Mun(1996) to fit the realities of Korea conside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from the scale developed for children/teenagers of 3~18 years of age by Gresham and Elliot(1990). The data processing employed SPSS 21.0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and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results of social skills for the research subject group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caused a positive change to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by the teacher's evalu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caused a positive change to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by the children's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Cooperation-centered group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ion of children with week social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