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설계회사의 사업 대상과 영역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business target and field for the domestic architecture fir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메가트렌드
건축설계
사업 대상
영역
미래예측
Language
Korean
Abstract
오늘날 인구 감소로 인한 경제규모(Critical Mass) 및 건설수요의 한계, 도시화의 정체 및 공공부문의 축소 등으로 인해 국내 건설시장의 성장이 한계에 직면함에 따라 건축설계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그동안 국내 설계 회사들의 주요 사업 대상이었던 아파트 시장의 종결은 대규모 설계 회사들의 지속적인 성장에 의문을 갖게 하며, 아파트 설계에 한정된 경쟁력으로 인한 일감의 부족은 설계 산업의 양극화 현상을 더욱 가중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서 건축설계 산업의 성장을 위해 정부 및 산 · 학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설계 산업은 한정된 분야에 건축설계, 실시설게 중심의 업무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설계회사의 한정된 사업 대상과 영역 측면 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 세계 메가트렌드 분석을 바탕으로 건축설계 시장의 전 세계적 수요를 분석하고, 미래예측 측면에서 건축설계의 6가지 메가트렌드를 도출하였으며, 그로 인해 예측되는 건축설계의 수요를 사업 대상과 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 선도 설계회사인 겐슬러를 대상으로 해당 기업의 실적을 사업 대상과 영역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국내 회사와의 비교를 통해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국내 설계회사의 경우 건축 설계영역, 주거분야에 집중된 사업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지식산업으로서 건축설계산업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컨설팅과 마스터 플랜 등 고부가가치 사업영역의 수행 비중이 미비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50%이상이 주거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건축설계 관점의 6가지 메가트렌드로 기후변화와 에너지, 건전한 도시화, 건강관리, 창의적 환경, 도시간 교통 네트워크, 메가이벤트를 도출하였으며, 메가트렌드로 인해 관련 분야에 지속적인 건축설계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컨설팅과 마스터플랜, 건축설계, 실내건축에 이르기까지 도시건축의 전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메가트렌드에 의한 새로운 수요는 규모의 다양성, 사업의 연속성, 핵심 시설 중심의 패키지(package) 특성을 가지며, 데이터와 실적 보유 시 지속가능 한 시장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시장이다. 넷째, 전 세계 선도 설계회사의 경우, 이미 새롭게 나타나는 수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컨설팅과 마스터 플랜 수립을 통해 건축설계 및 실내 건축설계로 이어지는 새로운 수요의 특징을 이용한 수주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다섯째, 따라서, 국내 대형 설계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사업 대상 측면에서 6가지 메가트렌드에 발생되는 새로운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사업 영역 측면에서는 컨설팅과 마스터 플랜 등 고부가가치 영역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의 생산과 확보가 중요하다. 건축설계 및 마스터플랜의 수립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와 경험을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보화함으로써, 기업의 독보적인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지식자산을 확보해야한다. 지식자산의 생산과 확보는 컨설팅, 매스터플랜, PM영역의 수주경쟁력의 핵심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