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스암페타민 중독에 대한 봉침의 치료효능에 관한 연구 / The therapeutic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ethamphetamine induced addic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English
Abstract
The illicit psychostimulant drugs including methamphetamines (METH) represent a class of highly addictive compounds. Acupuncture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many functional disorders including substance abuse.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 venom (BV) acupuncture on either acute or chronic methamphetamine (METH)-induced drug addiction in ICR mice. Single treatment of METH (1 mg/kg, s.c.) significantly increased locomotor activity, body temperature and expression in several brain regions including nucleus accumbens (NA), caudate putamen (CPU), ventral tegmental area (VTA), substantia nigra reticular (SN) and locus coeruleus (LC). When diluted BV (20 ul of 0.01, 0.1, 1 and 10 mg/ml in saline, s.c.) was administered bilaterally into Zusanli acupoint (ST36) at 30 min prior to METH injection, it was dose-dependently reduced METH induce hyperactivity and hyperthermia. On the other hand, BV (1 mg/ml) injection into ST36 further increased METH-induced Fos expression in NA, SN and LC. Moreover, BV injection (1 mg/ml) into other acupoints located on the lower hind limb [Yinlingquan (SP9), Xuanzhong (GB39)] or tail base did not have any effect. When we performed sciatic denervation or treated with BV-lidocaine cocktail (BV diluted in 5% lidocaine solution), the enhancement of Fos elevation by BV was completely blocked in the NA, SN and LC in single METH-injected mice. Furthermore, the effects of BV were completely blocked by the alpha2-adrenoceptor antagonist, idazoxan (3 mg/kg, i.p.), but were not influenced by the beta-adrenoceptor antagonist, propranolol (10 mg/kg, i.p.). Finall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BV acupuncture on repeated METH induced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CPP) and hyperactivity. The mice were treated with METH (1 mg/kg, s.c.) or saline every other day for 6 days (three-time METH and three-time saline sessions). The repeated BV acupuncture 30 min prior to the exposure to METH significantly reduced the acquisition of METH-induced CPP and hyperactivity. When BV acupuncture was administered 30 min prior to the CPP testing session at 7th day, it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CPP and hyperactivity. In the drug-priming reinstatement study, the extinguished CPP at 18 days was reinstated by METH (0.1 mg/kg, s.c.) injection and this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BV acupun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V acupuncture has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effect on METH induced drug addiction, possibly by modulating peripheral nerve and central alpha2-adrenergic activation.
침(acupuncture)은 약물중독, 통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보조 치료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능 및 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자극물질의 하나인 봉독(bee venom)을 침 자리에 주입하는 봉침요법(bee venom acupuncture)이 메스암페타민으로 유도되는 중독에 대한 치료효과 및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봉침은 봉독을 생리식염수에 0.01, 0.1, 1, 10 mg/ml 로 녹인 후 뒷다리에 존재하는 침 자리인 족삼리(ST36), 음릉천(SP9) 및 현종(GB39)과 비침자리인 꼬리에 각각 피하로 20 μl 를 투여하여 실시하였다. 단 회 메스암페타민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과 운동성 및 고체온증은 족삼리에 봉침을 실시할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다른 침 자리인 음릉천, 현종, 꼬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메스암페타민의 반복투여에 의해 생겨나는 중독현상인 조건화 장소선호도 및 과운동성 현상의 생성, 유지 및 재발현상이 봉독의 족삼리 투여에 의해서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단 회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중경의지핵, 흑색질 그리고 청색반점 신경에서의 Fos 단백질은 봉침에 의해서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좌골신경전달 또는 리도카인 혼합봉독투여 등의 말초신경차단에 의해 효과가 소실됨을 관찰하였습니다. 또한 봉침을 시술하기 30 분전에 α2-adrenoceptor 저해제인 idazoxan 을 투여하자 급성 메스암페타민에 대한 효과가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본 연구에서 봉침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약물중독에 대한 치료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하였으며, 그 치료기전으로 말초신경의 자극을 통한 중추신경계내의 α2-adrenoceptor 의 활성을 제시하였다.
침(acupuncture)은 약물중독, 통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보조 치료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능 및 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자극물질의 하나인 봉독(bee venom)을 침 자리에 주입하는 봉침요법(bee venom acupuncture)이 메스암페타민으로 유도되는 중독에 대한 치료효과 및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봉침은 봉독을 생리식염수에 0.01, 0.1, 1, 10 mg/ml 로 녹인 후 뒷다리에 존재하는 침 자리인 족삼리(ST36), 음릉천(SP9) 및 현종(GB39)과 비침자리인 꼬리에 각각 피하로 20 μl 를 투여하여 실시하였다. 단 회 메스암페타민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과 운동성 및 고체온증은 족삼리에 봉침을 실시할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다른 침 자리인 음릉천, 현종, 꼬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메스암페타민의 반복투여에 의해 생겨나는 중독현상인 조건화 장소선호도 및 과운동성 현상의 생성, 유지 및 재발현상이 봉독의 족삼리 투여에 의해서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단 회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중경의지핵, 흑색질 그리고 청색반점 신경에서의 Fos 단백질은 봉침에 의해서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좌골신경전달 또는 리도카인 혼합봉독투여 등의 말초신경차단에 의해 효과가 소실됨을 관찰하였습니다. 또한 봉침을 시술하기 30 분전에 α2-adrenoceptor 저해제인 idazoxan 을 투여하자 급성 메스암페타민에 대한 효과가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본 연구에서 봉침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약물중독에 대한 치료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하였으며, 그 치료기전으로 말초신경의 자극을 통한 중추신경계내의 α2-adrenoceptor 의 활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