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계 조형도의 문학교류와 인맥네트워크
Literary exchange and personal network of Hyeong-do Joh (趙亨道)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영남학. Dec 31, 2015 28:185
Subject
조형도
청송
함안
문학교류
인맥지도
퇴계학파
Hyeong-do Joh
趙亨道
Cheongsong
靑松
Hamahn
咸安
literary exchanges
personal network map
Toegye school
Language
Korean
ISSN
1738-7760
Abstract
동계(東溪) 조형도(趙亨道, 1567~1637)는 정치적으로는 남인, 학파적으로는 범퇴계학파에 속한다. 영남 청송 지역 출신으로 명지재(明智齋) 민추(閔樞, 1526~1604)와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를 사사했고, 교류한 주요 인물들도 영남의 퇴계학맥을 계승한 인사들이었다. 조형도가 남긴 다량의 한시들 가운데에는 이들과의 교류 속에서 생산된 작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계속되는 전란에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며 무인의 길로 나아갔지만, 그는 지역의 문인들과 문학으로 쉼 없이 교류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류속에서 생산된 시의 창작배경들이 무엇인지, 또 어떤 인물들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 문학교류를 통해 인맥 지형을 읽어내는 것이 어디까지 가능한지 탐색해보려 한 것이다. 조형도의 문집에 수록된 한시 중에 인맥 관계를 구체적으로 드러낸 시들은 약 230수 정도였다. 사람들과 만나고 헤어질 때마다 시를 지었고 또 사람이 그립고 생각날 때에도 시를 지었다. 사람들과 얽혀 있는 시들은 그의 인맥 지형의 미시적 실상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로 충분했다. 교류 인물들의 출신 지역 분포를 볼 때 대구가 12명으로 제일 많고, 다음으로 상주와 청송이 5명·의성 4명, 그리고 성주·안동·영주·밀양· 선산·함안 등이 각 2~3명으로 경남 함안에서부터 경북 북부까지 골고루 퍼져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조형도의 인맥 네트워크의 범위는 대구를 중심으로 함안 및 청송 지역들을 크게 아우르고 있었는데, 이것은 그가 두 지역을 오가는 삶을 살았기 때문이었다. 처남이었던 오여벌을 제외하면 안동위의 인사들과는 거의 교류가 없었음을 알 수 있는데, 비슷한 시기에 예안에 살았던 김령과 김택룡이 안동, 영주, 봉화 지역 인물들과 집중 교류했던 것과 대별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무인의 삶을 택했던 청송 출신의 조형도가 어떤 인맥 지형을 구축했는지 알려주며, 더불어 16세기후반에서 17세기 전반까지 퇴계 문인들의 동향과 지역적 교류 및 계보 형성에 대해서도 보다 미시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Korean ancient scholar, Hyeong-do Joh (趙亨道, 1567~1637) was a namin politically and a member of the pan-Toegye school academically. He was born in Cheongsong, Yeongnam. Famous scholars such as Ji-jae Myeong (明智齋), Chu Min (閔樞, 1526~1604); Gang Han (寒岡) and Gu Jeong (鄭逑, 1543~1620) studied under him. Joh mainly exchanged with people succeeding the academic line of Scholar Toegye in Yeongnam region. Hyeong-do Joh left a lot of poems in Chinese and many of them were written while exchanging with such people. Amid the continued war in the country, Joh decided to serve in the military still, he never stopped his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the regional literature wri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one’s personal network geography based on literature exchanges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poems written amid such exchanges and hi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s. In Hyeong-do Joh’s collection of poem works, approximately 230 poems showed his specific personal relationships. He wrote poems every time he met other people and every time he missed or came to think of them. His poems interwound with people sufficiently served as a key channel to get closer to a more microscope of his personal network geography. Regarding the places of birth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people in relationship with Joh, Daegu has the highest number of 12 persons; followed by Sangju and Cheongsong with 5 persons; Euiseong, 4; Seongju, Andong, Yeongju, Milyang, Seonsan and Hamahn, 2~3 persons, respectively, showing broadly even distribution from Hamahn, Gyeongnam, to the north of Gyeongbuk. Hyeong-do Joh’s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was found to focus on Daegu and encompass the broader surrounding areas including Hamahn and Cheongsong. This is because he used to come and go between the two places in his life. Excluding his brother-in-law, Yeo-bul Ouh, he hardly exchanged with people living above Andong. This is in contrast with the cases of Ryeong Kim and Taek-ryong Kim who lived in Yeahn in the similar period and actively exchanged with people in Andong, Yeongju and Bonghwa. This fact informs us of the characteristics of Hyeong-do Joh’s personal network topography, who was born in Cheongsong and served in the military during his life. And this finding also allows a more microscopic approach to the trend, regional exchanges and personal network building of Toegye-school literary persons from later 16C to early 17C.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