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 발전 지표 체계의 구축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the Digital Economy Development Indicator System for the Yellow River Basi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Yellow River Basin plays a pivotal role in China'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andscape. However, recent overdevelopment and rising resource costs have hampered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including ecological protection and the promotion of the digital economy. Amidst the COVID-19 pandemic, the digital economy has emerged as a key driver, prompting the need for a systematic evaluation of its development in the Yellow River Basin. This study reviews existing literature on the digital economy in the region, providing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background and digital infrastructure. Exploring digital economy measurement and its theoretical economic impacts establishes the research's theoretical foundation. Notably, while current research emphasizes regional coordinated development and spatial disparities,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on constructing an index system for this purpose. Through rigorous analysis, we identified 28 indicators across 6 dimensions, such as economic and innovative development, resource allocation, foreign trade, urban-rural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These were us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three-tier index system, employing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mathematical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uthoritative data sources, including the China Statistical Yearbook 2022, were rigorously preprocessed for accuracy. The entropy method determined indicator weights, and the TOPSIS method constructed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enabl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economy development across the nine provinces of the Yellow River Basin. Empirical analysis reveals overall positive development in the digital economy, yet significant regional imbalances, particularly in innovation and social welfare. The "Matthew effect" is evident, with more developed areas advancing rapidly, leaving less developed regions behind. These disparitie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digital economic development for regional economic coordination, providing crucial data support for policy-making. Recommendations include strengthening the strategic position of the digital economy, accelerating digital infrastructure, promoting regional collaborative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digital economy governance system. Addressing challenges necessitates expand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change. This research innovatively fills the gap in the Yellow River Basin's digital economy index system, enrich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introduction of GIS as a tool for revealing economic disparities within the basin is a notable contribution. Limitations include the evaluation system's perfection and methodology, as well as the scope and depth of research. Future studies will seek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expanding data sources, incorporating comparative studies, and extending the sample time frame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Keyword: Yellow River Basin, Digital Economy, Index System, Entropy Weight Method, TOPSIS Method.
황하 유역은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 분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대이다. 최근 이 지역은 과도한 개발과 자원 비용 증가로 인해 경제 성장 동력이 악화되었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생태 보호, 디지털 경제 발전 촉진 등 일련의 정책을 내놓았다. 그 중코로나 19 기간 동안, 디지털 경제는 널리 활용되었고 빠르게 발전했으며, 새로운 경제 모델에 있어 중요한 추진력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황하 유역의 디지털 경제 발전을 평가하고 정책 수립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포괄적인 평가 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본 연구는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고, 경제적 배경과 디지털 기반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디지털 경제의 측정과 그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구를 통해 현재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 발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지역 조정 발전, 공간 발전 차이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 발전 지표 체계 구축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심층분석을 통해 경제 발전, 기술 혁신, 자원 배분, 대외 무역, 도시와 농촌 발전, 사회 복지 등 6개 분야의 28개 지표를 선정하여 포괄적인 3단계 지표 체계를 구성하였다. 문헌연구법, 수학분석법, 공간분석기술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중국통계연감(2022년) 등 권위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그 후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을 활용하여 지표 가중치를 결정하고 TOPSIS 방법을 활용하여 종합 평가 모델을 구축, 황하 유역 9개 성·자치구의 디지털 경제 발전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실증 분석을 통해 황하 유역의 디지털 경제 발전이 전체적으로 양호하나 지역간 발전 불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혁신 발전과 사회 복지 분야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평가 모델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 보면, 황하 유역 내부의 성들 사이에 디지털 경제 발전에서 마태 효과(Matthew Effect)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경제적으로 비교적 발달한 지역인 산동성(山东省)과 쓰촨성(四川省)은 빠르게 발전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발전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지역 경제 발전에 있어 디지털 경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또한 정책 결정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황하 유역의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해 디지털 경제의 전략적 지위를 강화하고, 디지털 기반시설의 인프라 건설을 촉진하며,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촉진하고, 디지털 경제 거버넌스 체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디지털 경제 발전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협력과 교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본 연구의 독창성은 과학적인 평가 체계를 통해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 지표 체계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디지털 경제 지표 체계 이론을 부족한 정을 보완 했다는 데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 (GIS)의 도입은 황하 유역 내부의 경제 차이를 드러내는 새로운 도구를 제공했다. 하지만, 연구의 한계점은 평가 체계와 방법의 완성도 및 연구의 범위와 깊이에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데이터 소스의 확장, 비교 연구 강화, 샘플 기간 연장 등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여 더욱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키워드: 황하 유역, 디지털 경제, 지표 체계,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 TOPSIS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