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화를 통한 역사 이해의 유형과 초등학교 역사학습 / The Type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Based on Folktale and Learning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설화
초등역사학습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역사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설화를 활용한 역사학습 절차와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역사학습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역사 이해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 이해의 성격과 유형을 탐색하고 설화를 통해 가능한 역사 이해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설화를 통한 역사 이해의 유형은 ① 설화 내용의 사실적 이해, ② 설화의 배경을 통한 맥락적 이해, ③ 설화 속 인물의 의사결정과정 이해, ④ 설화 전승의도의 비판적 이해로 나눌 수 있다. 이런 역사 유형은 설화를 통한 역사 이해 절차이기도 하다. 따라서 설화를 통한 역사학습은 다음 절차를 거친다. 배경지식의 활성화 → 설화 읽기(설화 내용의 사실적 이해, 설화의 배경을 통한 맥락적 이해, 설화 속 인물의 의사결정과정 이해, 설화 전승의도의 비판적 이해) → 나의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 재구성. 본 연구에서 구안한 역사학습 절차를 따라 실제 학습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화의 내용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였다. 학생들은 설화를 읽고 등장인물, 배경, 사건과 같은 설화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특정한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거나 당시 사회상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둘째, 설화의 내용에 나타난 역사적 사실을 맥락적으로 이해하였다. 학생들은 설화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실에 주목하고 이를 당시 사회적 상황과 연관 지어 추론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설화 속 인물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였다. 설화에서 등장인물이 처한 구체적 갈등 상황을 파악하고, 인물에 감정이입을 시도함으로써 그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넷째, 설화의 전승의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였다. 학생들은 설화가 전승된 출처를 파악하고, 다른 설화와 비교하여 읽음으로써 전승의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러나 모든 학생에게 네 가지 역사 이해 유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설화를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 이해 학습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설화를 통해 당시 사회상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설화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학생들의 감정이입적 이해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구체적 발문이 필요하며, 학생의 응답을 심화시킬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 인물이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추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설화 전승의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려면 여러 관점을 보여주는 설화를 제시하고, 설화가 전승된 사회적·상황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돕는 발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