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Discussion based on Collaborative Agenc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협력적 주도성
토의 교육
토의 활동
토의 행위
담화 분석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
근거 이론적 접근
협력 행위
토의 수행 양상
토의 참여자 인식
Language
Korean
Abstract
토의는 복수의 참여자들이 특정 문제에 대해 공동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이루 어지는 담화이다. 토의에서는 참여자들이 협력적 사고를 바탕으로 공동의 의미 구 성에 기여하는 행위를 능동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토의 교육 에서는 토의를 합리적 담화로서 규정하고 절차와 기능을 주된 교육의 내용으로 다 루고 있다. 이러한 토의 교육은 학습자들이 토의에서 공동의 의미 구성을 위한 협 력적 주체가 되도록 교육하는 데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토의 교육은 협력적 으로 사고하고 행위하며 저마다의 생각과 능력을 토대로 공동의 의미 구성에 기여 하는 토의 참여자를 길러내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토의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교육을 제안하였다. Ⅱ장에서는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 다. 이에 관하여 첫째, 협력적 주도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협력적 주도성의 구성 요 소를 규정하였다. 본고에서는 협력적 주도성의 개념을 “주체가 주변 환경 및 다른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교섭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정하고 상생의 사고방식을 활성화 하여 집단이나 공동체 또는 공공선을 지향하는 행위를 의도적으로 실천하고 조절하 며 성찰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협력적 주도성은 ‘상생적 사고방식’, ‘교 섭적 위치 짓기’, ‘의도성’, ‘조절’, ‘성찰’로 구성된 능력으로 보았다. 둘째, 토의 담화의 특성과 토의 활동체제의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토의 담화 의 특성을 ‘다차원적 행위를 통한 협력적 문제 해결’과 ‘시스템으로서 집단의 의미 구성 과정’으로 정리하였다. 토의에서 협력 행위는 ‘과제’, ‘절차’, ‘관계’ 차원에서 이루어지며, 토의 집단은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토의 참여자 개개인의 사고와 행동 은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복잡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동의 의미 구성에 관여한다. 그리고 토의 활동체제의 요소를 ‘토의 참여자’, ‘의사소통 수단’, ‘공동의 의미 구 성’, ‘토의 규칙 및 절차’, ‘토의 공동체’, ‘토의 참여자 역할’로 규정하고 각 요소의 의미와 요소 간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활동 이론의 관점을 빌려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활동체제의 작용 구조 및 구성 원리를 탐구하였다. 작용 구조에서는 토의 참여자의 협력적 주도성이 토의 활동 체제에 작용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토의 참여자의 협력적 주도성 은 토의 참여자의 심리적 맥락 구성과 공동의 의미 구성 그리고 토의 활동 체제의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작용한다. 구성 원리에서는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활 동 체제를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는 토의 활동 체제 내 요소 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적용되어야 할 원리에 해당한다.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 의 활동 체제는 구성 원리를 지향하는 토의 참여자들의 행위를 통해 구성되고 재구 성된다. Ⅲ장에서는 토의 수업의 실행 결과 분석에 활용한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토의 참여자 개별 행위 변화 분석 을 위해 SNA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토의 교육 전, 후로 나타난 토의 행위 빈도 및 행위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둘째, 토의 참여자 상 호작용 변화 분석을 위해 담화 분석을 활용하였다. 토의에서 학습자들의 협력 행위 가 중층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공동의 의미 구성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형성하게 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토의 참여자 인식 변화 분석을 위해 근거 이론적 접근 을 활용하였다. 토의 교육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토의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를 범주 화하여 범주를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국내외 교육과정 검토 및 교실 토의 실태 분석을 통해 토의 교육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교육의 목표와 내 용과 방법을 설계하였다. 이에 관하여 첫째, 토의 교육의 목표는 ‘① 협력적 주도성 에 기반한 토의에 대해 이해하고, 토의에서 공동의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행위를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②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에 대해 이해하고, 토의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성찰을 통해 토의 활동을 재구성할 수 있다.’, ‘③ 일상 및 학습 과정의 토의 상황에서 협력적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다.’와 같이 설정하였 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토의 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내면화해야 할 토의 교 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 내용의 효과적인 내면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교수·학습의 원리와 모형 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로는 ‘체계적 준비의 원리’, ‘상황적 실천의 원리’, ‘순환적 재구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토의 준비하기-토의 실행하기-토의 재구성하기’를 주기로 순환하는 구조의 토의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 다. 셋째, 토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토대로 토의 수업을 구안하였다.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총 9차시 분량의 토의 수업 개요와 각 차시 별 수업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토의 교육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토의 참여자 개별 행위’ 차원에서는 ‘행위의 빈도’와 ‘행위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다. 토의 행위의 빈 도 면에서 대부분의 경우 개인 및 집단 수준에서 협력 행위의 빈도가 증가하고 비 협력 행위의 빈도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토의 행위의 구조 면에서 역 할 관계의 변화, 협력적 기여의 분배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의 참여자 상호작 용’ 차원에서는 참여자들의 토의 행위가 상호작용의 수준에서 의미하는 바를 확인하 였다. 여기에서 ‘다름의 수용과 탐구 대화의 실천’, ‘포용적 상호작용과 집단적 참여 의 확대’, ‘상호 조절과 공유된 규칙의 준수’, ‘수평적 상호작용과 역할 교섭의 실현’ 양상을 도출하였다. 셋째, ‘토의 참여자의 인식’ 차원에서는 ‘협력적 토의 주체로서 성장의 자각과 정체성 형성’, ‘공동 주체로서의 인정과 협력의 동인 강화’, ‘토의에 대한 이해와 즐거움의 발견’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토의에서 협력과 참여를 실천 하기 위한 토의 교육의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토의에서 협력적 주도성은 협력적 토의 참여자로서의 사고 및 행위 실천을 추동하는 핵심 기제이다. 절차와 기능 중 심의 토의 교육을 탈피하고, 학습자들이 토의에서 협력적 주체로 자리매김하기 위 한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토의 수업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설계에서 나아가 구체적인 수업을 구안하여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였다. 토의 교육의 실행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본 토의 교육의 교육적 의미 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