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6527namka2200745 k 4500 | ||
001 | 0000610713▲ | ||
005 | 20180519091409▲ | ||
007 | ta▲ | ||
008 | 040603s2001 tgka 000a kor ▲ | ||
020 | ▼a 0965761630▲ | ||
040 | ▼a 221016 ▼c 221016 ▼d 221016▲ | ||
041 | 0 | ▼a koreng▲ | |
082 | 0 | ▼a 951 ▼2 21▲ | |
090 | ▼a 951 ▼b A4▲ | ||
110 | ▼a 계명대학교. ▼b 아카데미아 코레아나▲ | ||
245 | 1 | 0 | ▼a 한국인의 원류를 찾아서=▼x Exploring the origin of homo Koreanus:▼b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d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레아나 [편].▲ |
260 | ▼a 대구:▼b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레아나,▼c 2001.▲ | ||
300 | ▼a 534 p.:▼b 삽도;▼c 26 cm.▲ | ||
500 | ▼a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 ||
500 | ▼a Date: september 16-20,2001▲ | ||
505 | 0 | ▼a T'oegye as teacher/Martina Deuchler. - 散調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김열규. - 언어와 문화의 정체서/남기심. - Origins :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Michael Kalton. -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강신표. -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 : 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Young-chan Ro. - 퇴계의 불교관 : 평가와 의의/김종명. - 퇴계학과 한국인,한국문화/홍원식. -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1990s/Serguei O.Kourbanov. - 퇴계,다산 그리고 수운 :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김상일. - 단군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최희수. -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James Huntley Grayson. -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Hyun-key Kim Hogarth. -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 : 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권오현. - The Origins of "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John M.Frankl. -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김성렬. -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김교봉. - "Literature play"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Robert J.Fouser. -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정백수. -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Stephen Epstein. -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박재섭. -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 Sun-won/Bruce Fultion. -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Joshua D. Pilzer. - 대구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장유경. -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Keith Howard. -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장석호. -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David A.Mason. -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허휘훈. -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천혜숙. -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 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Michael J. Pettid. -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 :동일성에서 헌신으로/반신환. -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임성숙. -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류제헌. -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 :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혼다히로시. -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Timothy R. Tangherlini. - Korean character and rice : 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Kwang-kyu Lee. - 한국인과 김치:그 문화적 종교적 의미/오강남. - The Korean rice burger: 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Michael C. Reinschmidt. -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Mark Byington. - 전사사의 한반도 생활 관습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 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관계의 준칙/한조기. -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 :The culture of Han and Wa/Barbara Seyock.▲ | |
700 | 1 | ▼a Deuchler, Martina/▼t T'oegye as teacher▲ | |
700 | 1 | ▼a 김열규/▼t 산조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 | |
700 | 1 | ▼a 남기심/▼t 언어와 문화의 정체서▲ | |
700 | 1 | ▼a Kalton,Michael/▼t Origins :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 | |
700 | 1 | ▼a 강신표/▼t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 | |
700 | 1 | ▼a Ro, Young-chan/▼t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 : 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 |
700 | 1 | ▼a 김종명/▼t 퇴계의 불교관 : 평가와 의의▲ | |
700 | 1 | ▼a 홍원식/▼t 퇴계학과 한국인,한국문화▲ | |
700 | 1 | ▼a Kourbanov, Serguei O./▼t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1990s▲ | |
700 | 1 | ▼a 김상일/▼t 퇴계,다산 그리고 수운 :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 | |
700 | 1 | ▼a 최희수/▼t 단군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 | |
700 | 1 | ▼a Grayson, James Huntley/▼t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 | |
700 | 1 | ▼a Hogarth, Kim Hyun-key/▼t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 | |
700 | 1 | ▼a 권오현/▼t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 : 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 | |
700 | 1 | ▼a Frankl, John M./▼t The Origins of "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 | |
700 | 1 | ▼a 김성렬/▼t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 | |
700 | 1 | ▼a 김교봉/▼t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 | |
700 | 1 | ▼a Fouser, Robert J./▼t "Literature play"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 | |
700 | 1 | ▼a 정백수/▼t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 | |
700 | 1 | ▼a Epstein, Stephen/▼t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 | |
700 | 1 | ▼a 박재섭/▼t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 | |
700 | 1 | ▼a Fulton,Bruce/▼t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 Sun-won▲ | |
700 | 1 | ▼a Pilzer, Joshua D./▼t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 | |
700 | 1 | ▼a 장유경/▼t 대구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 | |
700 | 1 | ▼a Howard,Keith/▼t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 |
700 | 1 | ▼a 장석호/▼t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 | |
700 | 1 | ▼a Mason, David A./▼t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 | |
700 | 1 | ▼a 허휘훈/▼t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 | |
700 | 1 | ▼a 천혜숙/▼t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 | |
700 | 1 | ▼a Pettid, Michael J./▼t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 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 | |
700 | 1 | ▼a 반신환/▼t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 :동일성에서 헌신으로▲ | |
700 | 1 | ▼a 임성숙/▼t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 | |
700 | 1 | ▼a 류제헌/▼t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 | |
700 | 1 | ▼a 혼다히로시/▼t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 :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 |
700 | 1 | ▼a Tangherlini,Timothy R./▼t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 | |
700 | 1 | ▼a Lee, Kwang-Kyu/▼t Korean character and rice : 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 | |
700 | 1 | ▼a 오강남/▼t 한국인과 김치:그 문화적 종교적 의미▲ | |
700 | 1 | ▼a Reinschmidt, Michael C./▼t The Korean rice burger: 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 | |
700 | 1 | ▼a Byington, Mart/▼t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 | |
700 | 1 | ▼a 한조기/▼t 전사사의 한반도 생활 관습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 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관계의 준칙▲ | |
700 | 1 | ▼a Seyock, Barbara/▼t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 :The culture of Han and Wa▲ | |
740 | ▼a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 ||
940 | ▼a 퇴계탄신 오백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 ||
999 | ▼a 정지은▼b 장은영▲ |

한국인의 원류를 찾아서= Exploring the origin of homo Koreanus: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한국인의 원류를 찾아서 = Exploring the origin of homo Koreanus :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레아나 [편].
부출서명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개인저자
Deuchler, Martina / T'oegye as teacher
김열규 / 산조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
남기심 / 언어와 문화의 정체서
Kalton,Michael / Origins :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
강신표 /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
Ro, Young-chan /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 : 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김종명 / 퇴계의 불교관 : 평가와 의의
홍원식 / 퇴계학과 한국인,한국문화
Kourbanov, Serguei O. /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1990s
김상일 / 퇴계,다산 그리고 수운 :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
최희수 / 단군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
Grayson, James Huntley /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
Hogarth, Kim Hyun-key /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
권오현 /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 : 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
Frankl, John M. / The Origins of "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
김성렬 /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
김교봉 /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
Fouser, Robert J. / "Literature play"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
정백수 /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
Epstein, Stephen /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
박재섭 /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
Fulton,Bruce /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 Sun-won
Pilzer, Joshua D. /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
장유경 / 대구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
Howard,Keith /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장석호 /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
Mason, David A. /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
허휘훈 /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
천혜숙 /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
Pettid, Michael J. /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 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
반신환 /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 :동일성에서 헌신으로
임성숙 /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
류제헌 /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
혼다히로시 /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 :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Tangherlini,Timothy R. /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
Lee, Kwang-Kyu / Korean character and rice : 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
오강남 / 한국인과 김치:그 문화적 종교적 의미
Reinschmidt, Michael C. / The Korean rice burger: 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
Byington, Mart /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
한조기 / 전사사의 한반도 생활 관습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 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관계의 준칙
Seyock, Barbara /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 :The culture of Han and Wa
김열규 / 산조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
남기심 / 언어와 문화의 정체서
Kalton,Michael / Origins :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
강신표 /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
Ro, Young-chan /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 : 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김종명 / 퇴계의 불교관 : 평가와 의의
홍원식 / 퇴계학과 한국인,한국문화
Kourbanov, Serguei O. /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1990s
김상일 / 퇴계,다산 그리고 수운 :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
최희수 / 단군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
Grayson, James Huntley /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
Hogarth, Kim Hyun-key /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
권오현 /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 : 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
Frankl, John M. / The Origins of "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
김성렬 /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
김교봉 /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
Fouser, Robert J. / "Literature play"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
정백수 /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
Epstein, Stephen /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
박재섭 /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
Fulton,Bruce /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 Sun-won
Pilzer, Joshua D. /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
장유경 / 대구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
Howard,Keith /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장석호 /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
Mason, David A. /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
허휘훈 /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
천혜숙 /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
Pettid, Michael J. /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 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
반신환 /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 :동일성에서 헌신으로
임성숙 /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
류제헌 /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
혼다히로시 /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 :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Tangherlini,Timothy R. /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
Lee, Kwang-Kyu / Korean character and rice : 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
오강남 / 한국인과 김치:그 문화적 종교적 의미
Reinschmidt, Michael C. / The Korean rice burger: 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
Byington, Mart /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
한조기 / 전사사의 한반도 생활 관습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 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관계의 준칙
Seyock, Barbara /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 :The culture of Han and Wa
단체저자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레아나 , 2001.
형태사항
534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퇴계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Date: september 16-20,2001
Date: september 16-20,2001
내용주기
T'oegye as teacher/Martina Deuchler. - 散調의 문화론:샤머니즘에 비추어 본 한국문화의 일면/김열규. - 언어와 문화의 정체서/남기심. - Origins :confucian stories and 21st century questions/Michael Kalton. -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 문화문법/강신표. - "Originality" in Korean thought : a preliminary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Young-chan Ro. - 퇴계의 불교관 : 평가와 의의/김종명. - 퇴계학과 한국인,한국문화/홍원식. - Elements of the far eastern traditional thought in North Korean Juche ideas of the 1980s-1990s/Serguei O.Kourbanov. - 퇴계,다산 그리고 수운 :향내와 향외의 문제를 중심하여/김상일. - 단군조선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최희수. - Three structural patterns of Korean foundation myths/James Huntley Grayson. - The Tan'gun Myth as an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in Korean shamanism/Hyun-key Kim Hogarth. -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 : 작품에서 보이는 장례의식을 중심으로/권오현. - The Origins of "the foreign"in Korean literature/John M.Frankl. - 한국인의 애정관 :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시적 고찰/김성렬. - 한국 현대문학의 원천/김교봉. - "Literature play"in a new world:the social origins of the modernism of Kim Kirim and Pak T'aewon/Robert J.Fouser. - "과거의 상처"로서의 한국어중심주의/정백수. -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Stephen Epstein. - 한국 근대 소설의 일인칭 고백체 형식에 관한 연구/박재섭. - Colonial and modernist origins of the early short fiction of Hwan Sun-won/Bruce Fultion. - The 20th century transformations of the Kisaeng and Kisaeng-norae/Joshua D. Pilzer. - 대구지역 굿에 나타나는 한국 춤의 정신/장유경. - Lee Hye-ku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Keith Howard. - 울산 대곡리 암각화의 새로운 해석/장석호. - The revival of San-shin as a key figure in Korean religious culture/David A.Mason. - 한민족의 원초적인 심미의식 "흥"에 대한 신화학적 연구/허휘훈. - 한국신화에서 아버지의 부재와 탐색이 갖는 의미/천혜숙. - From serving the gods to entertaining and empowering the people: popular shamanic tradition in Korean literature/Michael J. Pettid. - 할렐루야 기도원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정체성 :동일성에서 헌신으로/반신환. - 한국사회의 온라인시민운동과 유교문화/임성숙. - Tracing the history of Korean geographic thought through religious landscapes/류제헌. - 신분계층적 문화전통과 근대 지역사회 :남원 이족의 사례를 중심으로/혼다히로시. - Choson pastoral:Minsokch'on, allegory and the politics of ethnographic display/Timothy R. Tangherlini. - Korean character and rice : rural community in the age of industry/Kwang-kyu Lee. - 한국인과 김치:그 문화적 종교적 의미/오강남. - The Korean rice burger: hybridization and stabilization of rice as a cultural icon/Michael C. Reinschmidt. - Han's Xuantu commandery and the emergence of the Koguryo state/Mark Byington. - 전사사의 한반도 생활 관습 및 풍속에 대한 기록과 진보 역사가 사마천이 표현한 민족관계의 준칙/한조기. - Iron age burials around the Korean straits :The culture of Han and Wa/Barbara Seyock.
ISBN
0965761630
청구기호
951 A4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