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0670camka2200265 k 4500 | ||
001 | 0000446104▲ | ||
005 | 20180519000015▲ | ||
007 | ta▲ | ||
008 | 010424s2001 ulka 000a kor▲ | ||
020 | ▼a898627048X▼g03900:▼c₩15000▲ | ||
040 | ▼a221016▼c221016▼d221016▲ | ||
041 | 1 | ▼akor▼heng▲ | |
082 | 0 | ▼a022.409▼221▲ | |
090 | ▼a022.409▼bP497b한▲ | ||
100 | 1 | ▼aPetroski, Henry,▼d1942-▼050284▲ | |
245 | 1 | 0 | ▼a서가에 꽂힌 책 /▼d헨리 페트로스키 지음;▼e정영목 옮김.▲ |
246 | 1 | 9 | ▼a(The) book on the bookshelf▲ |
260 | ▼a서울 :▼b지호,▼c2001▲ | ||
300 | ▼a391 p. :▼b삽화 ;▼c23 cm▲ | ||
500 | ▼a부록: 서가의 책 정리▲ | ||
504 | ▼a참고문헌: p. 377-386▲ | ||
700 | 1 | ▼a정영목,▼g鄭榮沐,▼d1960-▼062627▲ | |
900 | 1 | 1 | ▼a페트로스키, 헨리▲ |
950 | 0 | ▼b₩15000▲ | |
999 | ▼a신주영▼b신주영▼c구미선▲ |
서가에 꽂힌 책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서가에 꽂힌 책 /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 정영목 옮김.
원서명
(The) book on the bookshelf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지호 , 2001
형태사항
391 p. : 삽화 ; 23 cm
일반주기
부록: 서가의 책 정리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77-386
ISBN
898627048X
청구기호
022.409 P497b한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원문 등 관련정보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서가에 꽂힌 책
학과: 문헌정보학과, 이름: 정*교, 선정연도: 2013
추천내용: 도서관에는 책만 있는 것이 아니다.‘서가’도 있다.만약 서가가 없다면 도서관의 그 수많은 책이 자리 잡고 있을 곳은 없다.그런데도 여태까지 서가는 우리의 고려 대상이 전혀 되지 않았다.그러나 「서가에 꽂힌 책」을 읽으면 정말 서가와 책은 서로 떼어낼 수 없는 한몸과 같은 존재이고,옛날부터 오늘날까지 함께 발전해왔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책은 ‘서가’와 ‘책’의 변천과정에 관한 책이다.두루마리,코덱스,파피루스,양피지,독피지,인큐나불라,외국의 여러 도서관에 대한 내용들이 자세하게 나와 있어 이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중세에는 책이 ‘사슬’에 묶여 있었다.하지만 이 사실을 모르는 독자들이 많을 텐데 이 책에서 재밌게 풀어 놓았다.중세의 도서관은 수도원 도서관이었고, 그 책의 수가 상당히 적었기 때문에 도난 방지 등을 이유로 책의 이용이 많이 제한되었다.그래서 초기에는 서로 다른 자물쇠가 세 개씩 달린 궤에 책을 보관했다고 한다.더군다나 열쇠가 각각 다른 사람에게 하나씩 맡겨졌다고 하니,한번 책을 보려면 엄청 번거로웠을 것이다.그 후 책이 점점 늘어나고 궤로는 책의 이용이 불편하여 독서대가 출현,그곳에 책이 놓이고 독서도 가능했다고 하는데,그 대신 안타깝게도 책이 사슬로 묶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독서대는 서서 읽는 독서대와 앉아서 읽는 독서대로 발전하고, 그 둘을 섞어놓은 형태도 출현했다고 한다.또한 독서대에 더욱 많은 책을 놓을 수 있도록 선반이 달리기 시작했고,한 방향의 독서대였던 것이 양방향으로 발전했다고 한다.이런 것들이 바로 서가의 초기 모습인 것이다. 과거에 책을 진열한 모습은 오늘날과 많이 달랐다.오늘날처럼 책을 세우지 않고,책을 눕혀서 진열했고,진열하다가 한 줄이 다 차면 이미 진열한 책 위에 새로운 책을 쌓아놓는 식으로 진열하기도 했다고 한다.인쇄술이 발달하면서 사슬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고,그때부터는 책을 멀리까지 들고 갈 수 있기에 독서대와 선반의 통합된 형태에서,선반 즉 책꽂이만 남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후 서가는 높이,모양,재료 등이 다양하게 바뀌며 발전했다. 이 책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을 전체적으로 재미있게 풀어나가서 읽는 독자들이 지루함을 느낄 새가 없을 것이다.그림 자료도 아주 풍부해서 글의 이해를 돕는다.또 끝부분에 서가의 책 정리 방법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이 책이 궁극적으로 말하는 바는 서가와 책의 발전은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책이 중요한 만큼 서가도 중요하다는 것이다.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나면 앞으로는 도서관에 갈 때마다 책만큼 서가를 꼭 눈여겨 볼 지도 모르겠다.
학과: 문헌정보학과, 이름: 정*교, 선정연도: 2013
추천내용: 도서관에는 책만 있는 것이 아니다.‘서가’도 있다.만약 서가가 없다면 도서관의 그 수많은 책이 자리 잡고 있을 곳은 없다.그런데도 여태까지 서가는 우리의 고려 대상이 전혀 되지 않았다.그러나 「서가에 꽂힌 책」을 읽으면 정말 서가와 책은 서로 떼어낼 수 없는 한몸과 같은 존재이고,옛날부터 오늘날까지 함께 발전해왔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책은 ‘서가’와 ‘책’의 변천과정에 관한 책이다.두루마리,코덱스,파피루스,양피지,독피지,인큐나불라,외국의 여러 도서관에 대한 내용들이 자세하게 나와 있어 이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중세에는 책이 ‘사슬’에 묶여 있었다.하지만 이 사실을 모르는 독자들이 많을 텐데 이 책에서 재밌게 풀어 놓았다.중세의 도서관은 수도원 도서관이었고, 그 책의 수가 상당히 적었기 때문에 도난 방지 등을 이유로 책의 이용이 많이 제한되었다.그래서 초기에는 서로 다른 자물쇠가 세 개씩 달린 궤에 책을 보관했다고 한다.더군다나 열쇠가 각각 다른 사람에게 하나씩 맡겨졌다고 하니,한번 책을 보려면 엄청 번거로웠을 것이다.그 후 책이 점점 늘어나고 궤로는 책의 이용이 불편하여 독서대가 출현,그곳에 책이 놓이고 독서도 가능했다고 하는데,그 대신 안타깝게도 책이 사슬로 묶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독서대는 서서 읽는 독서대와 앉아서 읽는 독서대로 발전하고, 그 둘을 섞어놓은 형태도 출현했다고 한다.또한 독서대에 더욱 많은 책을 놓을 수 있도록 선반이 달리기 시작했고,한 방향의 독서대였던 것이 양방향으로 발전했다고 한다.이런 것들이 바로 서가의 초기 모습인 것이다. 과거에 책을 진열한 모습은 오늘날과 많이 달랐다.오늘날처럼 책을 세우지 않고,책을 눕혀서 진열했고,진열하다가 한 줄이 다 차면 이미 진열한 책 위에 새로운 책을 쌓아놓는 식으로 진열하기도 했다고 한다.인쇄술이 발달하면서 사슬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고,그때부터는 책을 멀리까지 들고 갈 수 있기에 독서대와 선반의 통합된 형태에서,선반 즉 책꽂이만 남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후 서가는 높이,모양,재료 등이 다양하게 바뀌며 발전했다. 이 책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을 전체적으로 재미있게 풀어나가서 읽는 독자들이 지루함을 느낄 새가 없을 것이다.그림 자료도 아주 풍부해서 글의 이해를 돕는다.또 끝부분에 서가의 책 정리 방법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이 책이 궁극적으로 말하는 바는 서가와 책의 발전은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책이 중요한 만큼 서가도 중요하다는 것이다.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나면 앞으로는 도서관에 갈 때마다 책만큼 서가를 꼭 눈여겨 볼 지도 모르겠다.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