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LDR | 02010namka2200505 k 4500 | ||
001 | 0000470608▲ | ||
005 | 20180521035910▲ | ||
007 | ta▲ | ||
008 | 020313s2002 ulka 000a kor ▲ | ||
020 | ▼a 8984570672 ▼g 0391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41 | 0 | ▼a korjpn▲ | |
082 | 0 | ▼a 951.0025 ▼2 21▲ | |
090 | ▼a 951.0025 ▼b 강69ㅎA▲ | ||
100 | 1 | ▼a 강인구▲ | |
245 | 1 | 0 | ▼a 韓半島의 前方後圓墳 論集:▼c 1983-2000/▼d 姜仁求 著.▲ |
260 | ▼a 서울:▼b 동방미디어,▼c 2002.▲ | ||
300 | ▼a 643 p.:▼b 삽도;▼c 23 cm.▲ | ||
505 | 0 | ▼a 1편 論文 : 舞妓山古墳(松鶴洞1號墳)에 대한 최근 학계의 論議에 대하여. - 동아시아에 分布된 前方後圓形墳丘에 대하여. - 前方後圓墳起源에 관한 일검토-楯築墳丘墓를 중심으로. - 전방후원분이란?. - 한반도 前方後圓墳의 實狀과 古代史에서의 位置. - 吉野ケ里遺蹟의 고찰. - 한국의 前方後圓墳. - 前方後圓墳 발견의 의의(함안ㆍ固城지방)-日本의 前方後圓墳의 源流. - 제2편 調査報告 : 靈岩 자라봉古墳. - 長鼓山古墳. - 海南龍頭里 말무덤 古墳. - 舞妓山古墳. - 제3편 論文(日文) :關東地方の古墳と韓半島の古墳. - 韓半島の前方後圓墳の名稱檢討. - 韓半島の前方後圓墳と久里雙水里古墳. - 韓半島の前方後圓墳. - 長方形石室の系統に關する試論. - 江田船山古墳斷想. - 前方後圓墳起源は韓半島にある.- 韓半島の前方後圓墳. - 韓國の前方後圓墳追補. - 韓國の前方後圓墳について. - 韓國の前方後圓墳の眞僞. - 咸安ㆍ固城地方における前方後圓墳發見の意義.▲ | |
740 | ▼a 고기산고분(송학동1호분)에 대한 최근 학계의 논의에 대하여 ; ▼p 논문▲ | ||
740 | ▼a 동아시아 분포된 전방후원형분구에 대하여 ;▼p 논문▲ | ||
740 | ▼a 전방후원고분기원에 관한 일 검토- 순축분구묘를 중심으로 ;▼p 논문▲ | ||
740 | ▼a 전방후원분이란? ;▼p 논문▲ | ||
740 | ▼a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실상과 고대사에서의 위치 ;▼p 논문▲ | ||
740 | ▼a 길야ケ리유적의 고찰 ;▼p 논문▲ | ||
740 | ▼a 한국의 전방후원분 ;▼p 논문▲ | ||
740 | ▼a 전방후원분 발견의 의의(함안ㆍ고성지방)-일본의 전방후원분의 원류 ;▼p 논문▲ | ||
740 | ▼a 영암 자라봉 고분 ;▼p 조사보고▲ | ||
740 | ▼a 장고산 고분 ;▼p 조사보고▲ | ||
740 | ▼a 해남용두래 말무덤고분 ;▼p 조사보고▲ | ||
740 | ▼a 무기산 고분 ;▼p 조사보고▲ | ||
740 | ▼a 관동지방노고분토한반도노고분 ;▼p 논문(일문)▲ | ||
740 | ▼a 한반도노전방후원분노명칭검토 ;▼p 논문(일문)▲ | ||
740 | ▼a 한반도노전방후원분토구리쌍수리고분 ;▼p 논문(일문)▲ | ||
740 | ▼a 한반도노전방후원분 ;▼p 논문(일문)▲ | ||
740 | ▼a 장방형석실노계통니관스루시론 ;▼p 논문(일문)▲ | ||
740 | ▼a 강전선산고분단상 ;▼p 논문(일문)▲ | ||
740 | ▼a 전방후원분기원와한반도니아루 ;▼p 논문(일문)▲ | ||
740 | ▼a 한반도노전방후원분;▼p 논문(일문)▲ | ||
740 | ▼a 한국노전방후원분추보;▼p 논문(일문)▲ | ||
740 | ▼a 한국노전방후원분니쯔이테 ;▼p 논문(일문)▲ | ||
740 | ▼a 한국노전방후원분노진위;▼p 논문(일문)▲ | ||
740 | ▼a 함안ㆍ고성지방니오케루전방후원분발견노의의 ;▼p 논문(일문)▲ | ||
950 | 0 | ▼b ₩24000▲ | |
999 | ▼a 도양희 ▼b 도양희▲ |

韓半島의 前方後圓墳 論集
자료유형
국내단행본
서명/책임사항
韓半島의 前方後圓墳 論集 : 1983-2000 / 姜仁求 著.
부출서명
고기산고분(송학동1호분)에 대한 최근 학계의 논의에 대하여;; 논문
동아시아 분포된 전방후원형분구에 대하여;; 논문
전방후원고분기원에 관한 일 검토- 순축분구묘를 중심으로;; 논문
전방후원분이란?;; 논문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실상과 고대사에서의 위치;; 논문
길야ケ리유적의 고찰;; 논문
한국의 전방후원분;; 논문
전방후원분 발견의 의의(함안ㆍ고성지방)-일본의 전방후원분의 원류;; 논문
영암 자라봉 고분;; 조사보고
장고산 고분;; 조사보고
해남용두래 말무덤고분;; 조사보고
무기산 고분;; 조사보고
관동지방노고분토한반도노고분;;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노명칭검토;;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토구리쌍수리고분;;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 논문(일문)
장방형석실노계통니관스루시론;; 논문(일문)
강전선산고분단상;; 논문(일문)
전방후원분기원와한반도니아루;;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추보;;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니쯔이테;;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노진위;; 논문(일문)
함안ㆍ고성지방니오케루전방후원분발견노의의;; 논문(일문)
동아시아 분포된 전방후원형분구에 대하여;; 논문
전방후원고분기원에 관한 일 검토- 순축분구묘를 중심으로;; 논문
전방후원분이란?;; 논문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실상과 고대사에서의 위치;; 논문
길야ケ리유적의 고찰;; 논문
한국의 전방후원분;; 논문
전방후원분 발견의 의의(함안ㆍ고성지방)-일본의 전방후원분의 원류;; 논문
영암 자라봉 고분;; 조사보고
장고산 고분;; 조사보고
해남용두래 말무덤고분;; 조사보고
무기산 고분;; 조사보고
관동지방노고분토한반도노고분;;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노명칭검토;;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토구리쌍수리고분;;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 논문(일문)
장방형석실노계통니관스루시론;; 논문(일문)
강전선산고분단상;; 논문(일문)
전방후원분기원와한반도니아루;; 논문(일문)
한반도노전방후원분;;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추보;;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니쯔이테;; 논문(일문)
한국노전방후원분노진위;; 논문(일문)
함안ㆍ고성지방니오케루전방후원분발견노의의;; 논문(일문)
개인저자
발행사항
서울 : 동방미디어 , 2002.
형태사항
643 p. : 삽도 ; 23 cm.
내용주기
1편 論文 : 舞妓山古墳(松鶴洞1號墳)에 대한 최근 학계의 論議에 대하여. - 동아시아에 分布된 前方後圓形墳丘에 대하여. - 前方後圓墳起源에 관한 일검토-楯築墳丘墓를 중심으로. - 전방후원분이란?. - 한반도 前方後圓墳의 實狀과 古代史에서의 位置. - 吉野ケ里遺蹟의 고찰. - 한국의 前方後圓墳. - 前方後圓墳 발견의 의의(함안ㆍ固城지방)-日本의 前方後圓墳의 源流. - 제2편 調査報告 : 靈岩 자라봉古墳. - 長鼓山古墳. - 海南龍頭里 말무덤 古墳. - 舞妓山古墳. - 제3편 論文(日文) :關東地方の古墳と韓半島の古墳. - 韓半島の前方後圓墳の名稱檢討. - 韓半島の前方後圓墳と久里雙水里古墳. - 韓半島の前方後圓墳. - 長方形石室の系統に關する試論. - 江田船山古墳斷想. - 前方後圓墳起源は韓半島にある.- 韓半島の前方後圓墳. - 韓國の前方後圓墳追補. - 韓國の前方後圓墳について. - 韓國の前方後圓墳の眞僞. - 咸安ㆍ固城地方における前方後圓墳發見の意義.
ISBN
8984570672
청구기호
951.0025 강69ㅎA
소장정보
예도서예약
서서가에없는책 신고
보보존서고신청
캠캠퍼스대출
우우선정리신청
배자료배달신청
문문자발송
출청구기호출력
학소장학술지 원문서비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소장처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북토크
자유롭게 책을 읽고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글쓰기
느낀점을 적어주세요
청구기호 브라우징
관련 인기대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