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록이 상처를 위로한다 작가 안정희 출판 이야기나무 님의 별점
    보고 싶어요
    (0명)
    보고 있어요
    (0명)
    다 봤어요
    (0명)
    나는 매일 글을 쓴다. 삶을 기록한다. 미래의 계획을, 그리고 과거의 이야기를. 이렇게 말하면 거창해 보이지만, 나는 그냥 매일 다이어리를 쓰는 사람이다. 누군가는 내게 물었다. 계획을 세우는 방법이 따로 있냐고. 어느 정도를 기준으로 계획을 세워야 하는 지 모르겠다고 이야기 했다. 나는 아주 단순하게 답했다. 그렇기 때문에 매일을 기록하라고. 지나온 날들을 곱씹고, 성찰하라고. 그 흐름을 읽어야 비로소 나를 제대로 알 수 있다고. 이 책의 저자도 비슷한 말을 했다.

    미래에 닥칠 일들을 예방하고자 지나온 날들을 되새김질했다. 그 안에서 흐름을 읽어낸 후 ‘시간’을 창조했다. 인간에게 ‘시간’은 앞으로 닥칠 일을 대비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이미 지난 일을 성찰해야 가늠할 수 있다. 시간이 기록인 까닭이다. 흘러간 시간에 앞서 산 이들의 삶이 들어있다. (139쪽)

    시간은 기록이다. 기록은 곧 역사다. 다이어리는 나의 이야기니까, 앞서 내가 살아온 이야기가 들어있는 것이다. ‘활용되지 않는 기록은 가치가 없다’(157쪽), 저자는 또 이렇게 말했다. 이 문장을 몇 번이고 곱씹으며 고개를 주억댔다. 다시 보지 않을 기록이라면 기록하는 의미가 없는 것이다. 잊어서는 안 될 사건에 기록관이 세워지는 이유는 뭘까? 잊지 않겠다는 하나의 약속? 이렇게 우리가 공들여 기억하고 있다는 자부심? 다 하나의 이유가 될 수는 있겠다. 하지만, 그저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에게는 생존본능 외에 문화전승의 본성이 있다.’(24쪽) ‘인간의 의지가 ‘지워져서는 안 될 기억’을 선택한다.’(41쪽)

    기록을 다룰 때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은 선택과 분류, 또 폐기이다. 그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하여 미래에 전승하지 않아도 될만한 것들은 폐기한다. 폐기 작업 또한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폐기되지 않은 것들은 더더욱 보존하여 전승할 의무가 있다. 그것이 ‘지워져서는 안 될 기억’ 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다. 역사는 곧 기억이고, 기록이며, 과거의 인류가 미래를 위해 발버둥친 흔적이다.

    그 흔적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 그러니까 아카이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이 책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준다. ‘기록하는 인류는 미래를 꿈꾼다.’(17쪽) 뒤집어 말하면 기록하지 않는 인류에게 미래는 없다. 우리는 누군가가 기록해 온 역사 위에 발을 딛고 서있다는 것을 깨달아야한다.
    더보기
    좋아요 1
    댓글 3
    • 1 person 좋아요 님이 좋아합니다.
    • 지나온 날들을 되새김질 해서 시간을 창조한다는 표현이 인상깊네요. 인용하신 문장에서 말하는 \'역사\'의 관점 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기록라는 행위가 갖는 중요성이 작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 저도 일상 속에서 있었던 일이나 감정, 생각들을 기록하는 것을 좋아해요. 종류에 관계없이 무언가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기록한다는 것은, 그것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인 것 같아요. 그래서 제 삶을 기록하면서 스스로의 삶을 소중하게 여기는 그 과정 자체가 즐겁더라구요 🙂
      더보기
    • 저는 다이어리를 쓰지만 한 번에 몰아서 쓰거나, 며칠을 비우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몇 년간 꾸준히 쓰는 이유는 일정을 관리하기에 편해서 입니다. 그럼에도 감정을 기록하는 일은 많이 해보지는 않은 것 같아요. 제 역사를 기록하는 일은 매력적이고, 더 자주 할 수 있도록 해보아야겠습니다.
      더보기